•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주한미군 정책변화와 한국의 자주국방 전략

*진*
최초 등록일
2010.01.04
최종 저작일
2004.01
65페이지/ 한컴오피스
가격 5,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미국에 부시 행정부가 등장하면서 미국의 외교정책은 다자주의에서 신 보수주의 외교 사상인 예외주의와 소명의식에 바탕을 둔 일방적인 패권주의 추구로 변화되었다. Michael J. Glennon은 2002년 9월 UN총회에서의 부시연설 - 무장해제의 규정을 어긴 이라크에 대해 조치를 촉구하고, 만약에 UN이 협조하지 않으면 미국 단독으로 행동할 것 이라고 경고한 바 있음 - 을 다자주의에서 일방주의로 넘어간 역사적 전환점이 되었다고 한다. 9.11 테러 이후 네오콘이 주도하는 이런 선제 공격론을 바탕으로 한 일방주의가 미국의 세계 전략 패러다임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그 변화된 정책의 일환으로 2003년 2월 미군 재배치와 감축 방안에 대한 미국 정부의 공식 입장이 미 의회에서 럼스펠드에 의해 언급 되었다. 그 후 한국에서는 2002. 12월 제 34차 한미 안보 협의회에서 「미래 한․미동맹정책 구상(FOTA)」 협의회를 통하여 미군기지 이전을 협의키로 합의하였다. 2004년 1월 제 6차「미래 한․미동맹정책 구상(FOTA)」에서 유엔사/ 연합사를 포함한 전 용산 기지 이전에 합의 하였고 2004년 10월 대통령 재가를 거쳐 국회에 제출된 상태이다.
이런 미국의 동북아 주둔 미군들의 재배치를 포함한 정책변화는 한국의 자주국방의 필요성을 더욱 증대시키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 2003년 8․15 경축사에서 노무현 대통령은 자주국방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향후 10년 이내에 자주국방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천명 하였다.
이런 자주국방론의 핵심은 한국군의 독자적 작전수행능력과 권한 회복, 국군의 정보와 작전기획능력 보강, 군비와 국방체계의 재편 등으로 요약된다.
이런 한반도에 대한 주한미군의 정책 변화는 한반도의 전쟁 억지력 및 국방전략의 근간을 흔드는 중차대한 문제로서 국가의 안위와 운명이 달린 문제라 하겠다. 따라서 한국의 국방정책은 독자적 방위능력건설과 독자적 국방정책을 한미동맹과 어떤 식으로 병행 시킬 것이며, 한국 국민들과 미국을 어떻게 설득해 나갈 것인지가 중요한 문제가 된다.

목차

제 1 장 .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연구의 한계점
1.4. 용어의 정의

제 2 장. 미국의 안보전략
2.1 미국의 국가안보전략의 이해
2.2 부시행정부의 외교정책과 군사정책의 변화
2.3. 미국의 군사혁신과 군사전환
2.4. 미군의 해외주둔 정책의 변화

제 3 장 미국의 해외주둔 미군정책의 변화
3.1. 미국의 주한미군 조정과 전략변화
3.2. 주한미군 조정의 주요쟁점

제 4 장 주한미군 재배치에 따른 한국의 국방전략
4.1. 주한미군 전력, 규모 조정
4.2. 연합군 지휘권 한국군 이전 및 CFC/UNC의 변화
4.3. 주한미군의 동아시아 지역동맹 역할로 변화
4.4 미군 재배치에 따른 한국 군사전략의 미래
4.4.1. 한국방위의 한국화
4.4.2. 한미동맹의 개입형 동맹 네트워크로 편입

제 5장 결 론
<국 문 요 약>
ABSTRACT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 I 장.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미국에 부시 행정부가 등장하면서 미국의 외교정책은 다자주의에서 신 보수주의 외교 사상인 예외주의와 소명의식에 바탕을 둔 일방적인 패권주의 추구로 변화되었다. Michael J. Glennon은 2002년 9월 UN총회에서의 부시연설 - 무장해제의 규정을 어긴 이라크에 대해 조치를 촉구하고, 만약에 UN이 협조하지 않으면 미국 단독으로 행동할 것 이라고 경고한 바 있음 - 을 다자주의에서 일방주의로 넘어간 역사적 전환점이 되었다고 한다.. Michael J, Glannon, "Why the security Council Failes," Foreign Affairs, vol. 82, no. 3, May/June 2003, pp. 16-17.
9.11 테러 이후 네오콘이 주도하는 이런 선제 공격론을 바탕으로 한 일방주의가 미국의 세계 전략 패러다임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그 변화된 정책의 일환으로 2003년 2월 미군 재배치와 감축 방안에 대한 미국 정부의 공식 입장이 미 의회에서 럼스펠드에 의해 언급 되었다.. New York times, 2003. 2. 15.
그 후 한국에서는 2002. 12월 제 34차 한미 안보 협의회에서 「미래 한․미동맹정책 구상(FOTA)」 협의회를 통하여 미군기지 이전을 협의키로 합의하였다. 2004년 1월 제 6차「미래 한․미동맹정책 구상(FOTA)」에서 유엔사/ 연합사를 포함한 전 용산 기지 이전에 합의 하였고 2004년 10월 대통령 재가를 거쳐 국회에 제출된 상태이다. . 「주한미군대책기획단」홈페이지, http://www.cua.go.kr. 2004.11.21.

이런 미국의 동북아 주둔 미군들의 재배치를 포함한 정책변화는 한국의 자주국방의 필요성을 더욱 증대시키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 2003년 8․15 경축사에서 노무현 대통령은 자주국방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향후 10년 이내에 자주국방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천명 하였다.. 「조선일보」, 2003.8.16. 노무현 대통령 광복절 경축사

참고 자료

1. 김성한, “주한미군 재배치와 한국 해군; 도전과 과제,”제 10회 함상토론회 발표논문, 2004.
2. 김영묵, “미국의 아태 전략과 주한미군,” 「외교」, No. 66, 2003.
3. 김준형, “미국의 신안보 패러다임: 안티태제로서의 거시적 분석,” 한국정치학회 하계학술회의, 2004년 6월 24일.
4. 김일영, “주한미군 어떻게 볼것인가,” 「한국군사학회 세미나」, 통권 제 38호, 2004. 3월.
5. 김일영, “해외주둔 미군 재배치계획과 주한미군의 미래”,「한국군사학회」, 통권 39호, 2004. 가을.
6. 박인휘, “ 단극시대 미국 패권전략의 이론적 기초; 다자주의 vs 일방주의,” 「한국과 국제정치」, 2003. 3월.
7. 박인휘, “주권저과 글로벌 안보; 세계화시대 주권과 안보개념의 지구성,” 「한국정치학회보」,2001. 3월.
8. 백창제, “ 미국 외요 정책의 일방주의 기반, ”「국가젼략」, vol. 9, No. 1. 2003. 봄.
9. 이대우, 「미국의 안보정책 변화에 따른 노무현 정부의 안보정책 과제」(성남: 세종연구소), 2003.
10. 이대우, 「미국의 안보정책 변화에 따른 노무현 정부의 안보정책 과제」(성남: 세종연구소), 2003.
11. 이춘근, “한미동맹의 문제점 진단과 한미동맹 강화의 논리, ”「국가전략」 vol. 9, no. 3, 2003.
12.. 전재성, “ 한미동맹 50년 평가와 미래발전 방향,” 2003년도 국제정치학회 주최 안보학술회의, 2003년 10월 24일.
13. 정항석, “미국의 미사일 방어체제와 한반도,” 「국제정치 논총」, Vol. 41, No. 3, 2001.
14. 한용섭, “「자주냐 동맹이냐」, 서울: 도서출판 오름, 2004. 12.
15. 황병무 ․권용수, 「미국의 미사일방어와 대응방향」 (서울: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01.
16. Barry Posen, "Command of Commons: The Military Foudation of U.S. Hegemony," International Security 28:1 ,2003.
17. Hungtington, ibid, pp 37-40; Joseph Nye " Limits of American Power" Political Science Quarterly 117:4(2002/3); Charles A. Kupchan, The End of America Era; US Foreign Policy and the Geopolitics of the Twenty-first Century (NY; Alfres A. Knopf, 2002.
18. Chrles Perry et al., alliance Diversifucation and the Future of the US-korea Relationship.
19. David C. Gompert, Conventional Forces Study Final Report: Exploiting Untapped Potential to Meet Emerging Challenges (Santa Monica: Rand Corporation), 2001.
20. Doug Bandow, "Time for a Korean Divorce." NRO online, January 6, 2003.
21.. James J. Przystup, "The Future of United States-Republic of Korea Security Cooperation" paper presented at 2002 KIDA-INSS Workshop in August 2002].; Eun Jung Chahill Che and Brad Glosserman. "The Perils of Progress: The U.S.-South Korea Alliance in a Changing Strategic Environment." Comperative Connections, June 2001.

22.. Michael J, Glannon, "Why the security Council Failes," Forein Affairs, vol. 82, no. 3, May/June 2003.
23.. New York times, 2003. 2. 15.
24. 「주한미군대책기획단」홈페이지, http://www.cua.go.kr. 2004. 11. 21.
25. 21세기 정치학 대사전 편찬위원회. 「21세기 정치학대사전」(서울 : 아카데미 리서치), 2002.
26. http://100.naver.com/100.php?id=101775. 2004.11. 15일 검색.
27. http://100.naver.com/100.php?id=13326, 2004.11월 15일 검색
28. http://100.naver.com/100.php?id=22964 , 2004. 11월 15일
29. www.heritage.org/LIBRARY/archives/lecture/hl605.html. 2004. 10.09.
30. QDR 영문 원본 및 국문 번역본에 관해서는 국방정보본부(譯), 『4년주기 국방검토 보고서: Quardrennial Defense Review Report』(서울: 국방정보본부), 2001.
31.. www.globalsecurity. org/wmd/library/policy/dod/, News Transcript: Special Briefing on the Nuclear Posture Review, www.defenselink.mil /cgi-bin/ 2002년 3월 14일.
32. The White House, The National Security Strateg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Washington D.C.: The White House), 2002.
33.. U.S. DoD, Quadrenaial Defense Review Report, Sep. 30. 2001.
34.. U.S. Department of Defense, quardrennial Review Report, Setember, 2001.
35. 조선일보, 2003년 2월 10일.
36. Washington Post, 9 July, 2003.
37. Los Angeles Times, Feb 13, 2003.
*진*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데탕트시기 국가안보 논쟁:박정희와 김대중의 안보인식을 중심으로 12페이지
    주한미군 철수는 북한의 대남전략에 부합하는 것이었다. ... 흐름은 박정희로 하여금 정권안보가 곧 국가안보라는 인식을 가지게 만들었으며 자주국방이라는 ... 포기해 버리자는 논의가 나오는가 하면, 블란서는 대한민국하고 국교를 맺지
  • 한미동맹의 문제점 진단과 바람직한 방향 A+ 45페이지
    한국 홀로 서기 가능한가2. 자주국방 10년내 실현 불가능3. ... 자주국방의 허와 실1. ... 한국에서의 반미감정2. 미국에서의 주한미군 철수론과 근거3.
  • 한미동맹의 목적과 북한의 군사위협에 따른 향후 변화에 관한 연구 26페이지
    이제 어쩌면 한국은 미국의 변화된 전세계적 안보정책이 세계 유일의 초강대국으로 ... 자주국방의 첫걸음은 한국안보의 목적과 목표가 무엇인가 하는 정의에서부터 다시 ... 그런데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의 자주국방의 기치가 능동적이기 보다는 수동적으로
  • 냉전시기 남북한관계 - 푸에블로호 사건을 중심으로 19페이지
    . 1970년 7월 미국은 한국과 상의도 없이 주한미군 1개 사단을 철수시키겠다고 ... 남북관계 양상은 이러한 기본전제를 차이로 유지되고 있었다.대한민국이 적극적인 ... 북한과 달리 지속적인 경제발전과 정권유지의 도구로서 반공기치를 이용한 대한민국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주한미군 정책변화와 한국의 자주국방 전략
  • 레이어 팝업
  • 프레시홍 - 특가
  • 프레시홍 - 특가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7월 1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9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