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달서구 외국인 인구 분포와 일상활동 분석

*동*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2.09.04
최종 저작일
2012.06
67페이지/ 어도비 PDF
가격 5,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대한민국 최초로 시간지리학, 사회적 거리를 통해 외국인의 행태를 GIS를 이용하여 시각화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절차 및 방법 2
3. 연구 지역 개관 및 분석방법론 2

Ⅱ. 이론적 배경 4
1. 관련 이론 4
1) 거주지분화 4
2) 사회적 거리 5
3) 시간지리학 6
2. 선행 연구 9

Ⅲ. 외국인 노동자의 분포 및 거주지분화 12
1. 대구의 외국인 분포 특징 12
2. 달서구의 외국인 분포 및 거주지 분화 특징 14

Ⅳ. 달서구 외국인 노동자 일상 활동 분석 18
1. 설문 대상자의 특성 18
2. 유형별 일상 활동 분석 22
3. 유형별 사회적 거리 29

Ⅴ. GIS를 이용한 외국인 일상 활동 패턴 분석 36
1. GIS를 통한 시각화 방법 36
2. GIS를 통한 시각화 자료 분석 38
3. 심층면접 결과 45

Ⅵ. 결론 48
1. 요약 및 결론 48
2. 향후 연구방향 50

[참고문헌] 51
[ABSTRACT] 55
[부록] 57

본문내용

인간의 모든 활동은 시공간 내에서 이루어진다. 즉, 인간의 모든 활동은 공간을 점유하게 되고 일정한 시간의 흐름 혹에서 구성된다. 이러한 인간의 일상 활동 분석은 시간지리학의 틀 내에서 연구되어 왔다. 일상 활동과 관련한 국내 연구의 경우, 개념 및 이론의 소개, 대학생, 직장인, 주부 등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한데 반하여 외국인의 일상 활동에 대한 분석은 거의 이루어 지지 않았다. 외국인에 대한 연구는 주로 외국인의 공간적 분포와 이동, 국지적 장소적 특성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GIS와 시간지리학, 사회적 거리 개념을 바탕으로 외국인의 일상 활동을 분석하는 것이다. 달서구에 거주하거나 직장을 가지고 있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사회적 거리 개념을 이용하여, 국적별, 연령별, 직업별, 거주기간별로 사회적 거리가 어떻게 다른지 분석한 결과 최솟값이 25로 나타났으며 최댓값은 64로 나타났고 사회적 거리 평균은 44.95로 나타났다. 국적별 분석, 성별 분석, 근로기간별 분석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국적별로는 중국계가 사회적 거리가 가장 가깝게 나타났고, 성별 분석에서는 여성(41.00)이 남성(46.21)보다 더 가깝게 나타났다. 근로기간별 분석에서는 5년 이상(42.20)의 사회적 거리 가 가장 멀었고 1년~3년(41.93)이 가장 가깝게 나타났다. 외국인 노동자와 외국인 강사로 구분하여 일상 활동 공간 및 시공간 경로를 분석한 결과 주중 일상 활동 분석에서는 외국인 노동자의 활동범위가 외국인 강사보다 좁게 나타났고, 외국인들은 주거지와 직장의 이동이 대부분이었지만 외국인 강사는 달서구를 벗어난 활동이 나타났다. 주말 일상 활동 분석에서도 공간적 확산이 이루어지긴 하였으나 외국인 강사의 일상 활동이 더 넓게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경제적 능력, 교통수단 보유, 근로시간이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외국인의 분포에만 초점을 맞춘 기존의 연구가 보여주지 못하는 시공간상 이동을 지리적으로 시각화 하였다. 이러한 시공간적인 이동행태 자료는 외국인의 이동이 공간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파악하여 다문화 공간에서 나타나는 사회적인 문제해결에 보다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참고 자료

文獻
강현수, 2009, “통신 매체를 활용한 도시 일상 활동 분석방법 연구동향 : 도시 연구에서 활용 가능성과 제약 요인,” 국토연구, 63, 159-179.
계명대학교 다문화사회 연구 및 교육센터, 2009, “달서구 다문화사회 정착을 위한 기본구상” 대구광역시 달서구청 연구 보고서, 103-130.
김상학, 2002, “소수자 집단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 제3회 『사회연구』학술상 수상논문집, 169-206.
김인·박수진, 2006, 도시해석, 푸른길.
달서구청, 복지달서 다문화 사회, http://www.dalseo.daegu.kr.
달서구청, 외국인 국적별 등록현황, 2011년 통계연보.
대구시청, 구군별 외국인 인구 추이, 대구통계 DB.
대구지방고용 노동청 대구북부지청, 2012, “(대구시 달서구 소재 사업장) 외국인근로자 현황 자료”
류주현, 2009, “수도권 외국인 노동자의 직주거리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2(1), 77-90.
류주현, 2009, “외국인 통근 특성에 따른 지역 유형별 비교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4(3), 339-354.
박기덕, 2012, “한국 다문화사회화의 현황과 문제점 및 대응방안”, 세종연구소.
박기호・이양원・안재성, 2005, “시간지리학 응용을 위한 시공간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GIS 컴퓨팅 연구,” 한국GIS학회지, 13, 221-237.
박기호・이양원・안재성, 2005, “시공간 개인통행자료의 지리적 시각화”, 대한지리학회지, 40(3), 310-320.
박배균, 2009, “초국가적 이주와 정착을 바라보는 공간적 관점에 대한 연구 : 장소, 영역, 네트워크, 스케일의 4가지 공간적 차원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5), 616-634.
박세훈, 2010, “한국의 외국인 밀집지역 : 역사적 형성과정과 사회 공간적 변화,”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23(1), 69-100.
박세훈・정소양, 2010, “외국인 주거지의 공간분포 특성과 정책함의,” 국토연구, 64, 59-76.
이상일・신정엽・김현미・홍일영・김감영・전용완・조대헌・김종근・이건학(번역), 2009, 지리정보시스템과 지리정보과학, 시그마프레스, 서울(Longley, P. A., Goodchild, M. F., Maguire,D. J., and Rhind, D. W., 2005,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nd Science, John Wi
이은숙・정희선, 2003, “서울시 주부의 일상생활 공간의 불평등성” 지리학연구, 37(3), 241-255.
이재하, 1985, “대학생의 일상행태에 관한 시간지리학적 연구” 죽파 홍순완교수 화갑기념논문집, 399-421.
이창익・정숙희, 2007, “외국인노동자의 노조가입 욕구 및 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이철우・김은숙, 1997, “일상 생활활동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연구동향”, 사회과학, 9, 133-158.
이희연, 2005, 지리학사, 법문사.
정갑영・박동호・최종호・이주연, 2007, “문화다양성협약 실행을 위한 문화정책과제 및 교류협력사업 개발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정수열, 2008, “인종・민족별 거주지 분화 이론에 대한 고찰과 평가 –미국 시키고 아시아인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43(4), 511-525.
정수열, 2009, “Neighborhood and Segregation in the Urban Theories,”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2(2), 103-118.
조창현, 2007, “도시 일상 활동 유형 프로파일의 시간지리학적 연구,” 대한지리학회 2007년 연례학술대회, 205-363.
조현미, 2006, “외국인 밀집지역에서의 에스닉 커뮤니티의 형성 – 대구시 달서구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2(5), 540-556.
최병두, 2009, “한국 이주노동자의 일터와 일상생활의 공간적 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2(4), 319-343.
최병두・이경자, 2010, “외국인 이주자의 거시적 이주 배경에 관한 인지”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1), 64-88.
최삼용, 1988, “시간지리학에 관한 연구 –도시주민의 시공간행태분석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저널, 16, 187-201.
통계청, 2011, 2011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청.
Bogardus, E. S., 1926, Social Distance in the City, Proceedings and Publications of the American Sociological Society, 20, 40-46.
Chapin, F. S., 1964, Selected Theories of Urban Growth and Structure,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30(1), 51-58.
Dijst, M. and Vidakovic, V., 2000, Travel time ratio: the key factor in spatial reach, Transportation, 27, 179–199.
Gershuny, J., 2003, Changing Times: Work and Leisure in Postindustrial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Hagerstrand, T., 1968, Methods and new techniques in current urban and regional research in Sweden, Plan, 22, 3-11.
Hagerstrand, T., 1970a, What about people in regional science?, Papers of the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24, 7-21.
Hagerstrand, T., 1970b, Tidsanvandning och omgivningsstrukture, in Urbaniseringen i Sverige: en geografish samhallsanalys, Stockholm.
Hanson, S. and Hanson, P., 1993, The Geography of Everyday Life, in R. Golledge and T. Garling, (eds.), Behavior and Environment: Psychological and Geographical Approaches, Elsevier Press, 249-269.
Kadushin, C., 1962, Social Distance between Client and Profession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67, 517-531.
Kwan, M. P. and Lee, J., 2003, Geovisualization of Human Activity Patterns Using 3D GIS: A Time-Geographic Approach, in M. F. Goodchild and D. G. Janelle. (eds.), Spatially Integrated Social Science: Examples in Best Practice, Oxford University Press: Ox
Kwan. M, P., 2004, GIS Methods in Time-Geographic Research: Geocomputation and Geovisualization of Human Activity Patterns, Geografiska Annaler: Series B, Human Geography, 86(4), 267–280.
Laumann, E. O., 1965, Subjective Social Distance and Urban Occupational Stratificati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1, 26-36.
Lenntorp, B., 1970, PESASP—en modell for berakning av alternativa banor, Urbaniserings Processen, 38, Department of Geography, University of Lund, Lund, Sweden.
Lenntorp, B., 1978, A Time-Geographic Simulation Model of Individual Activity Programmes, in T. Carlstein, D. Parkes, and N. Thrift, (eds.), Timing Space and Spacing Time: Human activity and time geography, Arnolds: London, 162-180.
Lenntorp, B., 1976, Paths in space-time environments: A time geographic study of movement possibilities of individuals, Royal University of Lund, Department of Geography, Lund.
Logan, J. R., and Molotch, H. L., 1987, Urban Fortun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Massey, D. S., 1985, Ethnic Residential Segregation: A theoretical synthesis and empirical review, Sociology and Social Research, 69(3), 315-350.
Meier, R. L., 1962, A Communications Theory of Urban Growth, MIT Press: Cambridge.
Miller, H., 1991, Modelling accessibility using space-time prism concepts within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5, 287–301.
Miller, H., 2006, Activities in space and time, in P. Stopher, K. Button, K. Haynes and D. Hensher, (eds.), Handbook of Transport 5 : Transport geography and spatial Systems, Pergamon, 647-660.
Miller, H.J., Frank, A.U., Raubal, M., Goochild, M.F. (Eds.). 2006,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GIScience.
Moore, A.B., Whigham, P., Holt, A., Aldridge, C., and Hodge, K., 2003, A Time Geography Approach to the Visualization of Sport,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Centre, Department of Information Science.
Ohmori, N., Muromachi, Y., Harata, N., and Ohta, K., 1999, A study on accessibility and going-out behavior of aged people considering daily activity pattern, Journal of the Eastern Asia Society for Transportation Studies, 3, 139-153.
Pacione, M., 2009, Urban Geography: A Global Perspective, 3rd edition, Routledge: London and New York.
Takeda, Y., 1998, Space-time prisms of nursery school users and location-allocation modeling, Geographical Sciences, 53, 206-216.
Weber J. and Kwan, M. P., 2003, Evaluating the Effects of Geographic Contexts on Individual Accessibility: A Multilevel Approach, Urban Geography, 24(8), 647–671.
Weber, J. and Kwan, M. P., 2002, Bringing time back in: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ravel time variations and facility opening hours on individual accessibility, The Professional Geographer, 54, 226-240.
Westie, F. R., 1952, Negro-white Status Differentials and Social Distanc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17(5), 550-558.
Yu, H. and Shaw, S.-L., 2009, A Custom Extension of Extended Time‐Geographic Framework Tools in ArcGIS, Release 1.0: August 24, 2009, http://web.utk.edu/~sshaw/NSF-Project-Website/default.htm.
http://en.wikipedia.org, “Bogardus social distance scale,” 4 May, 2012, from http://en.wikipedia.org/wiki/Social_distance_scale.
*동*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달서구 외국인 인구 분포와 일상활동 분석
AI 챗봇
2024년 09월 0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6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9월 1일에 베타기간 중 사용 가능한 무료 코인 10개를 지급해 드립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방송통신대학 관련 적절한 예)
- 국내의 사물인터넷 상용화 사례를 찾아보고, 앞으로 기업에 사물인터넷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기술하시오
5글자 이하 주제 부적절한 예)
- 정형외과, 아동학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