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원형탈모증의 종류 및 기전에 관한 고찰

*종*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4.01.07
최종 저작일
2011.05
33페이지/ 한컴오피스
가격 7,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본 론
1. 이론적 배경
1) 탈모증의 정의와 유형
(1) 여성형 탈모증
(2) 남성형 탈모증
(3) 원형 탈모증
(4) 휴지기 탈모증
(5) 소아 탈모증
(6) 노인성 탈모증
(7) 외상성 탈모증
(8) 내분비 이상에 의한 탈모증
2) 탈모증의 요인
(1) 유전적인 요인
(2) 스트레스 요인
(3) 질병 및 약물복용 요인
(4) 출산 및 피임약 복용 요인
(5) 식생활 요인
(6) 영양결핍 및 혈액순환장애 요인
(7) 환경오염 및 화학적 자극에 의한 요인
2. 원형탈모증의 종류와 질환
1) 원형탈모증의 종류
(1) 반상(patch)원형탈모증
(2) 전두(total)원형탈모증
(3) 범발성(universal)원형탈모증
(4) 사행성두부(ophiasis)원형탈모증
(5) 망상형(reticular)원형탈모증
(6) 미만성(diffuse)원형탈모증
2) 원형탈모증에 동반되는 질환
(1) 자가면역 질환
(2) 피부과적 질환
3. 원형탈모증의 발생 기전
1) 유전
2) 자가면역
(1) 자가항체
(2) 세포 매개 면역
(3) 면역억제제 반응
3) 정신적 요인
4. 원형탈모증의 치료
1) 국소적인방법
(1) 부신 피질 호르몬 함유 외용제
(2) 병변 내 주입방법
(3) 면역요법
2) 전신요법
(1) 부신 피질 호르몬
(2) Cyclosporine
(3) 정신치료

Ⅲ. 결 론

본문내용

2010년 10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비를 지급한 자료 분석 결과를 발표했는데, 국내의 탈모 환자수가 2001년부터 2008년까지 60%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남성이 약 8만5000명, 여성이 약 8만 명으로 여성과 별반 큰 차이가 없었으나, 특히 여성 환자는 2001년부터 연평균 16.5%씩 증가했으며 나이가 높아질수록 그 증가폭도 컸다.
탈모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고 메커니즘이 복잡한 질환으로 부정확한 정보와 잘못된 이해로 인해 무분별하게 제품을 사용하거나, 임상 데이터나 축적된 노하우가 없는 두피크리닉 등을 하는 경우 탈모의 예방과 개선에 도움이 되지 않거나 오히려 증상을 악화 시키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한진섭, 2006). 따라서 선행된 많은 연구 자료들을 토대로 원형탈모증에 대해 보다 체계적으로 정리해봄으로써 환자들의 치료 및 예방 지침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원형탈모증(alopecia areata)은 두피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형 또는 난원형의 탈모반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반흔을 남기지 않고 재발하며 때때로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만성 염증성 모발질환이다. 원인은 아직 불명이지만 대부분의 연구 결과들에 의하면 자가면역기전으로 생각되며 여기에 유전적 소인과 정신적 자극이 영향을 미친다고 믿어진다. 연구자들에 따라 견해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원형탈모증의 발병 및 악화에 있어 정신사회적 스트레스 등의 심리적 요인이 중요한 유발 요인이라는데 대해선 의견의 일치를 보이고 있다(이길홍, 이헌재, 2000).

참고 자료

강갑연(2003). 모발 및 두피관리학. 수문사 p.48.
강세일(2010). 탈모 방지 및 발모와 육모에 관한 특허 동향 연구. 서경대 학교 미용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성진(2006). Diphenylcyclopropenone (DPCP). 대한피부연구학회지 13
(suppl.1):1048.
김용준, 노병인(1997). 전두 및 범발성 탈모증의 임상적 고찰(제2보). 대 한피부연구학회지, 제4권 제1호
김정욱(2003) : 원형 탈모증에 동반되는 조갑이상. 대한피부과학회 제41 권 제2호
노병인, 임철완(2001). 모발 질환. 대한피부과학회 교과서 편찬위원회 편저. 여문각. p.47591.
문지훈, 임철완(2004). 원형 탈모증에서 (DPCP) 면역요법의 치료경험. 대 피지 42:7107.
민복기(2004a). Alopecia Areata. Hair Wrinkles Update pp 31
(2004b). Alopecia Areata: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Options in the 90s. Hair Wrinkles Update pp 33
박경숙(2006). 탈모 예방에 따른 효율적인 관리 방안 연구. 용인대 경영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소희령(2008). 성인 남녀 탈모증의 특성과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성신여 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심우영(2000). 원형 탈모증의 발생 기전. 대한피부연구학회지 제7권 제1 호
이길홍, 이헌재(2000) : 탈모증의 정신의학적 특성 분석(원형탈모증과 전 신성 탈모증간의 비교 분석). 신경정신의학회지 제39권 제3호
이명재(2004). 남성형 탈모증의 원인과 대응책에 관한 연구. 숙명여대 원 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승규, 신정현(2004). 광범위한 탈모범위를 지닌 원형 탈모증 환자의 (DPCP) 면역 치료 효과. 대피지. 42:11307.
이황희(2006). Scalp Care Medical Treatment 두피 모발관리 및 탈모 의 임상적 치료 청람. 2006
임미라(2005). 비반흔성탈모의 두피모발관리에 대한 미용학적 고찰. 한 국 두피모발미용학회지 제1권 제1호. p.185, p.189, p.191.
장익경(2009). 젊은 여성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전두(全頭) 탈모증 발견. 한국경제TV 2009년 2월 16일자 기사 중
한진섭(2006). 탈모자의 두피 유형별 특성과 모낭충 감염 실태에 관한 연구. 남부대 학교 산업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Baadsgaard O, Lindskov R. Circulating lymphocyte subsets in patients with alopecia areata. Arch Derm Venereol(Stockh) 1986;66:2668
Carter DM, Jegasothy BV. Alopecia areata and Down syndrome. Arch Dermatol 1976;112:13979
Cole GW, Herzhinger D. Alopecia universalis in identical twins. Int J Dermatol 1984;23:282
Colon EA, Popkin MK, Callies AL, Dessert NJ, Hordinsky MK(1991) : Lifetime prevalence of psychiatric disorders in patients with alopecia areata. Compr Psychiatric 32:245251
Cunliffe WH, Hall R, Stevenson CJ, Weightman D. Alopecia areata, thyroid disease and autoimmunity. Br J Dermatol 1969;81:87781
Gilhar A, Ullmann Y, Berkutzki T, Assy B, Kalish RS. autoimmune hair loss(alopecia areata) transferred by T lymphocytes to human scalp explants on SCID mice. J Clin Invest 1998;101:627
Gupta AK, Ellis CN, Cooper KD, et al:Oral cyclosporine for the treatment of alopecia areata. J Am Acad Dermatol 1990;22:242250
Koo JYM, Shellow WVR, Edwards JE, Yager J, Fairbanks :(1986) : Psychiatric, immunologic and atopic aspect of alopecia areatam an epidemiological study of 499 patients. Panel discussion at the convention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 matology
Muller SA, Winkelmann RK. Alopecia areata. Arch Dermatol 1963;88:2907
Rose NR. Characteristics of autoimmune disease. J Invest Dermatol 1991;96:87S
Rokhsar CK, Shupack JL, Vafai JJ, Washenic K. Efficacy of topical sensitizers in the treatment of alopecia areata. J Am Acad Dermatol 1998;39:75161.
Tobin DJ, Hann SK, Song MS, Bystryn JC. Hair follicle structure targeted by antibodies in patients with alopecia areata. Arch Dermatol 1997;133:5761
*종*
판매자 유형Diamon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원형탈모증의 종류 및 기전에 관한 고찰
  • 레이어 팝업
  • 프레시홍 - 특가
  • 프레시홍 - 특가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7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1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