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낙동강 해평 습지의 식생 구조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4
최종 저작일
2005.01
9페이지/ 어도비 PDF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습지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습지학회지 / 7권 / 3호
저자명 : 이팔홍, 김철수, 김태근, 오경환

목차

1. 서 론
2. 조사 장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2003년 3월부터 10월까지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고아면, 산동면, 해평면 및 도개면에 속한 해평 습지의 식생 구조를 조사하였다. 현존식생도에 나타난 군락은 버드나무-선버들 군락, 달뿌리풀-여뀌 군락, 왕버들-선버들 군락, 여뀌 군락, 선버들 군락, 선버들-물억새 군락, 달뿌리풀-물억새 군락, 여뀌-달뿌리풀 군락, 바랭이-도꼬마리 군락, 갈대-여뀌 군락, 환삼덩굴-며느리배꼽 군락, 선버들-갈풀 군락, 왕버들-물억새 군락, 환삼덩굴 군락, 물억새-달뿌리풀 군락, 선버들-왕버들 군락, 마름 군락, 마름-붕어마름 군락 등 총 18종류였는데, 군락별 분포 면적은 버드나무-선버들 군락이 122.2ha(9.23%)로 가장 넓었고, 달뿌리풀-여뀌 군락 110.4ha(8.34%), 왕버들-선버들 군락 60.8ha(4.59%), 여뀌 군락 35.1ha(2.65%) 등의 순이었으며, 마름-붕어마름 군락이 0.3ha(0.02%)로서 가장 좁았다. 식생 조사표상 상재도에 의해 구분할 수 있는 군락은 여뀌-물억새 군락이었고, 여뀌-물억새 군락은 선버들-왕버들 아군락, 바랭이 아군락, 도꼬마리 아군락 등 3개의 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선버들-왕버들 아군락의 식별종은 선버들, 왕버들, 버드나무, 도루박이, 나도미꾸리낚시, 쇠무릎 등이고 바랭이 아군락의 식별종은 바랭이, 강아지풀, 돼지풀, 쇠방동사니 등이며, 도꼬마리 아군락의 식별종은 도꼬마리, 깨풀, 망초, 돌피, 얼치기완두 등이었다. 해평 습지에서 수생 및 습생식물의 대상 분포는 지하수위가 낮은 육상 지역에는 왕버들(Salix glandulosa), 버드나무(S. koreensis), 선버들(S. nipponica) 군락의 하층에 나도미꾸리낚시(Persicaria maackiana), 여뀌(P. hydropiper), 도루박이(Scirpus radicans) 등이 분포하고 지하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물억새(Miscanthus sacchariflorus) 및 달뿌리풀(Phragmites japonica)과 같은 습생식물이 분포하며, 수심이 얕은 물가에는 갈대(P. communis) 및 솔방울고랭이(Scirpus karuizawensis)와 같은 정수식물이, 그 안쪽에는 마름(Trapa japonica)과 같은 부엽식물, 수심이 깊은 곳에는 붕어마름(Ceratophyllum demersum)과 같은 침수식물과 부수식물인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 등이 분포하고 있었다. 그러나 1998년 환경부에서 지정한 6종의 멸종위기식물과 52종의 보호야생식물은 분포하지 않았다. 해평 습지는 비교적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버드나무속(Salix) 군락이 잘 발달되어 있다. 따라서 버드나무속을 포함한 수생 및 습생 식물의 분포 면적이 넓은 해평 습지는 낙동강의 수질 정화에 기여하고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처로 이용되며 아름다운 하천 경관을 제공하므로 보존 가치가 높은 습지로 판단된다.

영어 초록

Vegetation structure of the vascular plants was investigated from March 2003 to October 2003 in Haepyeong wetland, Gumi-si, Gyeongsangbuk-do, Korea. Actual vegetation of Haepyeong wetland largely can be classified by floristic composition and physiognomy into 18 communities; Xanthium strumarium-Digitaria sanguinalis, Humulus japonicus, Persicaria perfoliata-Humulus japonicus, Phragmites japonica- Miscanthus sacchariflorus, Persicaria hydropiper-Phragmites communis, Persicaria hydropiper, Phragmites japonica-Persicaria hydropiper, Miscanthus sacchariflorus- Phragmites japonica, Persicaria hydropiper-Phragmites japonica, Miscanthus sacchariflorus-Salix glandulosa, Salix nipponica-Salix glandulosa, Salix nipponica-Salix koreensis, Salix nipponica, Miscanthus sacchariflorus-Salix nipponica, Phalaris arundinacea-Salix nipponica, Salix glandulosa-Salix nipponica, Trapa japonica, and Ceratophyllum demersum-Trapa japonica. Among them, the area of the Salix nipponica-Salix koreensis community was the largest as 122.2ha(9.23%). The dominant vegetation type was Miscanthus sacchariflorus-Persicaria hydropiper community based on phytosociological method, and it was was classified into three subcommunities; Salix glandulosa-Salix nipponica subcommunity, Digitaria sanguinalis subcommunity, and Cyperus amuricus subcommunity. Differential species of Salix glandulosa-Salix nipponica subcommunity were Salix nipponica, S. glandulosa, S. koreensis, Scirpus radicans, Persicaria maackiana, and Achyranthes japonica; differential species of Digitaria sanguinalis subcommunity were D. sanguinalis, Setaria viridis,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and Cyperus orthostachyus; differential species of Xanthium strumarium subcommunity were X. strumarium, Acalypha australis, Erigeron canadensis, Echinochloa crus-galli, and Vicia tetrasperma. Zonation of vascular hydrophytes and hygrophytes was as followers: Salix glandulosa, S. koreensis, S. nipponica were distributed in the region of land which water table is low, and Persicaria maackiana, Persicaria hydropiper, Scirpus radicans were distributed in the understory. And emergent plants such as Phragmites communis and Scirpus karuizawensis, floating-leaved plant such as Trapa japonica, submersed plant such as Ceratophyllum demersum, and free floating plant such as Spirodela polyrhiza formed the zonation from shoreline to water. The specified wild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n Associat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Ministry of Forest, and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not distributed in the study area. It was expected that Haepyeong Wetland worthy of conservation contributed purifying water pollution, giving habitats of many lifes, and providing beautiful scenes of the river.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낙동강 해평 습지의 식생 구조
  • 레이어 팝업
  • 프레시홍 - 특가
  • 프레시홍 - 특가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7월 1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2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