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공자의 정명(正名)에 대한 연구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09.01
39페이지/ 어도비 PDF
가격 6,8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수록지정보 : 철학논집
저자명 : 이권

목차

Ⅰ. 서론
Ⅱ. 예(禮)와 정명(正名)
Ⅲ. 인(仁)과 정명(正名)
Ⅳ. 충서(忠恕)와 정명(正名)
Ⅴ. 결 론

한국어 초록

본 논문에서는 공자의 정명사상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왜 ‘임금이
임금다워야 하는지’에 대한 체계내적 근거나 이유를 제시하지 못한다
고 보고, 그 대안적 설명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설명들은 공자
가 임금이 임금다워야 한다고 말할 때의 내재적 맥락을 충실히 복원하
기 보다는 도식적인 개념의 틀로 정명을 분석하고 있기 때문에 공자의
정명사상의 본래적 의미를 파악하는데 실패하고 있다. 여기서는 논어
라는 텍스트가 공자의 사상을 일관성 있게 드러내고 있다는 전제하에
정명을 논어 전체를 유기적으로 연결시켜줄 수 있는 하나의 키워드로
재해석해 보았다.
본 논문의 결론의 다음과 같다. 첫째, 분별을 핵심으로 하는 예법에
는 名과 名의 관계가 투영되어 있다. 여기서 名은 위에 대한 名과 名
이 요구하는 分이 결합된 것이다. 따라서 정명은 명분론의 맥락에서
해석되며, 이에 따르면 정명은 분을 명에 일치시키라는 주장이다. 둘
째, 예의 근본인 인은 관계의 맥락에서 제기된 관념으로서 사람다움을
말한다. 사람다움은 관계가 요구하는 바를 온전히 수행할 때 성취된다.
따라서 인은 정명의 실현이고 정명은 인을 실현하는 방법이다. 셋째,
정명이 함축하는 명명관계에서는 명과 명이 하나로 묶이는 경우에도
명들 사이의 차이와 구별은 사라지지 않는다. 덕목은 관계가 요구하는
역할을 온전히 해낼 때 확인되는 것이다. 넷째, 충서(忠恕)는 공자의
일관지도(一貫之道)이다. 충서의 충(忠)은 최선을 다하는 것[盡己]으로
서, 공동체의 가치에 비추어 개인적인 요구를 누르고 그 가치를 예를
통해 구현[克己復禮]해야 가능한 사태이며, 타인과의 관계가 자기에게
요구하는 것을 타인에게 실천하는 것[推己及人] 즉 서(恕)로 나타난다.
따라서 충과 서는 본질적으로 그 내용이 같다. 다섯째, 공자의 철학에
서 도덕의 객관적 근거 또는 보편성은 인(仁)에서 확보된다. 그런데 충
서는 인을 실천하는 방법이고 인은 구체적인 행위 속에 자리하는 덕목
이다. 따라서 충서라는 행위원칙은 도덕적 행위의 객관적이고 보편적
인 근거가 된다. 이로부터 다음과 같은 점을 확인할 수 있다. (1)충서
는 마음의 맥락에서 말해진 원칙이 아니라 행위의 맥락에서 제기된 원
칙이다. (2)충서개념을 말하면서 도덕의 근거와 도덕의 실천을 구별하
는 입장은 공자의 생각과는 거리가 멀다. (3)충서는 타인과의 관계차원
에서 제기된 개념이다. 여섯째, 충서와 정명은 동일한 원리에 대한 다
른 표현이고, 그 내용은 매 순간순간마다 관계가 요구하는 바를 행위
속에서 온전히 구현하라는 것이다.

영어 초록

This paper aims to give an alternative philosophical explanation on a
Kongzi's conviction, "a King should be kingly," taking a critical stance
against philosophical solutions hitherto studied on the question, since I
believe they have failed to provide reasonable grounds, which should
consistently and organically fit in the philosophical context of Kongzi. In
my view, the solutions seem unsuccessful in grasping the intrinsic
meaning of a Kongzi's theory, Rectification of names (zhengming 正名),
by uncritically accepting terms and schemes and analyzing them on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Assuming that the Analects (lunyu 論語) is
textually and logically consistent in presenting Kongzi's philosophy, I
attempt to reinterpret the theory of Rectification as a philosophical key to
organically link and explain Kongzi's ideas in the Analects.
In conclusion, my argum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 among
names (mingming guanshi 名名關係) are reflected into the ancient
Chinese Ritual system which centers around discriminations. The theory of
Rectification sh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discussion of names
and separations of one's social or familial status, and thus it suggests that
one's status must fit in its name. Second, Humanness (ren 仁) is an idea
raised in the context of human relationship. This can be accomplished
only when a man completes his responsibilities which are asked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around himself. Thus, the Humanness is a
potential realization of the Rectification, and Rectification is a necessary
way to complete the Humanness. Third, in the relationship among names,
which is represented by Rectification, differences and distinction among
names cannot perish, even when names are combined. Fourth, Doing one's
utmost and Putting oneself in the other's place (zhongshu n a is the Dao
of Kongzi which is bound together with one continuous strand. The
Doing one's utmost (zhong n) can be accomplished only when one's own
prisate desire a be acccommunal values 克己復禮 is successfully
overcome, and it is manifested as the Putting oneself in the other place
(shu a, which is the same as that a man practices his responsibilities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推己及人. Thus the zhong n and the shu
are 己及人. Thusally same in contents. Fifth, the objecti(zhond universal
ifested for Kongzi's moral philosophy is ace ired from the value,
Humanness. Doing one's utmost and Putting oneself in the other's place is
a way to practice the Humanness, and practicing the value cannot be
departed from the human reality. From this, the following are
acknowledgeable: (1) Doing one's utmost and Putting oneself in the
other's place is a principle for human behavioral actualization, not for
cultivating human mind. (2) Regarding the notion, Doing one's utmost and
Putting oneself in the other's place, a standpoint to differentiate moral
behaviors from moral grounds is not Confucian. (3) Doing one's utmost
and Putting oneself in the other's place was raised in the context of
relationship with others. Last but not least, Rectification and Doing one's
utmost/Putting oneself in the other's place are same in contents, and
different in their manifestations. They mean that a human must wholly
actualize in his actions the responsibilities required every time in life.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순자의 수양론 17페이지
    서 론공자(孔子)가 제시하는 충서(忠恕)의 원리는 타인에 대한 배려와 이해를 ... (正名論)을 사회 전반에 적용하였고, 백성이 군주를 받들기도 하지만 뒤엎을 ... 때문이다.순자는 지도자의 도덕성뿐만이 아니라 사회적 규범과 제도의 보완을 통해 정명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공자의 정명(正名)에 대한 연구
  • 레이어 팝업
  • 프레시홍 - 특가
  • 프레시홍 - 특가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7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1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