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유아들이 부르는 ‘노래’의 의미에 관한 예비 유아교사의 주관적 인식 분석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4.08
최종 저작일
2013.01
28페이지/ 어도비 PDF
가격 5,7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30권 / 4호
저자명 : 이승은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방법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유아들이 부르는 노래의 의미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교사
양성과정에서 노래 부르기를 활용한 교육적 맥락과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
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Q-연구방법론을 사용하여 44명의 광주?전남지역의
예비유아교사들에게 29개 문항으로 구성된 Q-set을 분류하게 하고, 유아들이 부르는 노래의
의미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유형별로 나누어,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유아들이 부르는
노래의 의미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4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제 1유형은
노래 속에 유아들의 이야기가 담겨있으며, 자발적인 활동으로서 노래의 의미를 인식하고 있
어, ‘유아들의 이야기가 담긴 본능적인 언어로서의 노래’로 명명하였다. 제 2유형은 새 노래
배우기의 교육적 수단으로서의 의미를 인식하여, ‘새 노래 배우기로서의 노래’로 명명하였다.
제 3유형은 노래의 의미를 효과적인 활동의 보조수단 및 주의집중의 도구로 인식하고 있어,
‘활동보조 및 주의집중 수단으로서의 노래’로 명명하였다. 제 4유형은 놀이의 맥락 속에서 놀
이의 주제와 관련하여 노래를 변형하거나 노래를 통해 놀이가 지속됨을 인식하여 ‘놀이 맥락
속의 놀이 주제와 관련된 노래’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교사들은 유아들이 부르는
노래의 의미를 ‘교육적 수단’과 ‘즐거움의 자발적 표현’으로서 이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기초로 즐거움의 자연스러운 표현과 놀이의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노래를 활용
한 다양한 교수법 및 자료집의 개발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영어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describe the prototype of pre-service teachers' subjective
understanding about children's singing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The Q-methodology
was used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s among the subjective perceptions of 44 participating
pre-service teachers sorting the 29-items of the Q-samples.
After analysing the individual pre-service teachers' subjective perceptions, They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Type 1: Song as instinctive language and having children's story,
so named because thes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children song out naturally,
spontaneously and instinctively. Type 2: Song as sing-a-new-song activity, so named because
these pre-service teachers realized that sing-a-new-song activity were commonplace music
activities. Type 3: Song as used means for method of learning and attention concentration,
so named because these pre-service teachers emphasized that song were available means for
learning and concentrating attention. Type 4: Song as were connected with play theme in
play context, so named because this type of pre-service teachers have a perception that
children modified the original song in relation to play theme and continued play through
singing.
In conclusion, pre-service teachers perceive singing sung by children in early childhood
classroom as expression of active pleasure and means of learning. Based in this study's
results, it would be developed package and teaching method applying song.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유아들이 부르는 ‘노래’의 의미에 관한 예비 유아교사의 주관적 인식 분석
  • 레이어 팝업
  • 프레시홍 - 특가
  • 프레시홍 - 특가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7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4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