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경남지역 통일신라시대 토성연구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16.04.02
최종 저작일
2012.05
35페이지/ 어도비 PDF
가격 8,3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성곽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성곽학보 / 21권
저자명 : 안성현

목차

Ⅰ. 머리말
Ⅱ. 대상유적
Ⅲ. 특 징
Ⅳ. 축조주체 및 축조목적
Ⅴ. 맺음말

한국어 초록

본고에서는 경남지역 통일신라시대 토성 중 시굴 및 발굴조사와 발표자가 지표조사상에서 확인된 성곽을 중심으로 이 시기 토성의 특징과 축조주체 및 목적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이제까지의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통일신라시대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시기 경남지역은 이전 시기와 달리 왜구의 방어를 중점을 둔 축성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양상은 조선시대까지 변함없이 이어졌다. 통일신라시대 토성의 특징 중 가장 두르러지는 것은 해안가에 집중적인 축성이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그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안정적인 해로의 통제와 대 왜구 방어에 중점을 둔 축성이 아니었나 생각된다. 그리고 토성의 규모는 길이900∼2,000m 사이의 토성들이 바닷가와 내륙 등 다양한 위치에 축조되고 있는 점으로 보아 길이 약 900∼2,000m 사이의 토성들이 주로 축성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경남지역 통일신라시대 토성들은 모두 내․외벽 기저부에 기단석렬을 배치한 뒤 성벽을 쌓았다. 기단석렬은 평행한 것과 사직선을 이루는 것으로 나누어지지만 시기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지는 못한다. 또한 영정주 간격 역시 정형성을 찾기 힘들 정도로 다양하다. 주목되는 점은 기존에 알려진 것과 달리 영정주를 중심으로 좌․우의 판축토가 동일한 것과 판이하게 다른 것으로 나누어지는데 판축토가 달라지는 양 끝부분을 한 구간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토성벽의 내․외부 퇴적토에서 출토되는 다량의 기와편들은 성벽의 구조를 밝히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는 가정하에 4가지 정도의 가능성을 검토해 본 결과 와적여장 및 성벽 상부 덮을 때 사용하는 개와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시기 토성의 축조주체는 신라사회의 변화 궤를 같이하므로 축조주체 역시 변하였을 것이다. 즉 삼국통일 후에서 9C 전반에서 중반 정도까지는 중앙 정부의 영향력이 강하였다고 생각된다. 그 이후 호족들의 세력이 커지는 9C 후반에서 10C 초반에는 새로운 토성을 축성하는 경우도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기존의 토성을 최대한 활용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토성들은 고려시대 초 조운제가 운영되면서 최대한 활용되었으며, 토성이 축조되어 있지 않은 지역은 새로운 축성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해로를 통제한 것으로 보인다.

영어 초록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main construction agents and purpose of earthen fortifications constructe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which were confirmed in Gyeongnam region by the presenter through the investigation were examined briefly. The examinatio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unified Silla period began when Shilla unified three Kingdoms. During this period, fortifications were constructed in Gyeongnam region with intent to defend invasions by Japanese pirates unlike the previous periods, the this aspect had continued until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 of fortification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was that the fortifications were intensively constructed on the coast. The exact reasons are not known, but it is considered to be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sea route and defending invasions by Japanese pirates. And, the earthen fortifications with a size ranged between 900m and 2,000m are found from various locations including the seaside and inland region, and this shows that earthen fortifications with a size ranged between 900m and 2,000m were mainly constructed. And, gidanseokyeol were placed on the base of both inside and outside walls first and then fortification walls were constructed for earthen fortifications constructed in Gyeongnam region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Gidanseokyeol are classified into parallel ones and obliquely straight ones, but gidanseokyeol in these fortifications do not reflect this aspect of change actively. And, also intervals between pillars are so diverse so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a set pattern. It is noted that, unlike as known previously, some places have panchukto between the right side and left side of panchukto and other places have different panchukto between the right side and left side of panchukto, and it would be proper to consider the both ends of where different panchukto were used as one section. Provided a large quantity of roof tiles excavated from deposit soils inside and outside of the earthen fortification walls provides a critical clue to reveal the structure of fortification walls, the examination of 4 possibilities confirmed that these roof tiles were used to cover whajeokyeojang and the top of fortification walls. And, the construction of earthen fortifications went along with the changes in the Silla society, so the main agents who constructed the earthen fortifications also might have been changed. That is, the influence of the central government must be powerful from the early 9th century to the mid 9th century after the Shilla unified three Kingdoms. New earthen fortifications might have been constructed during a period between the late 9th century and early 10th century when local lords became more powerful, but it is highly possible that existing earthen fortifications were utilized to the maximum. It seems that these earthen fortifications were utilized to the maximum after the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was adopted in early Koryo Dynasty periods, and new fortifications were constructed in regions without earthen fortifications were to control safe sea route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경남지역 통일신라시대 토성연구
AI 챗봇
2024년 08월 3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5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9월 1일에 베타기간 중 사용 가능한 무료 코인 10개를 지급해 드립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방송통신대학 관련 적절한 예)
- 국내의 사물인터넷 상용화 사례를 찾아보고, 앞으로 기업에 사물인터넷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기술하시오
5글자 이하 주제 부적절한 예)
- 정형외과, 아동학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