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범죄심리학] 살인사건 피해 유가족의 지원강화를 위한 제도 비교 분석 소논문

루키루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4.06.14
최종 저작일
2023.06
6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안녕하세요~ 살인사건 피해 유가족의 지원강화를 위한 제도 비교 분석 주제로 쓴 소논문입니다.
레퍼런스로 참고하셔서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오늘 하루도 행복하세요!

목차

I. <초록>

II. 서론

III. 본론
1. 유가족 사례
2. 살인 피해 가족 지원 현황
2-1. 해외 살인 피해 가족 지원 현황
2-2. 국내 살인 피해자 가족 지원 현황

Ⅲ. 결론

< 참고 문헌 및 자료 >

본문내용

살인 피해자 유가족 11명의 정신건강 상태를 분석한 결과 63%가 정신의학적 진단이 가능할 정도의 정신적 고통을 경험 중이었으며, 이들 중 27%가 PTSD 진단을 받았다는 보고가 있다.6) 이외에도 우울장애, 알코올 중독 등 유족은 심각한 정신질환을 앓게 된다. 이처럼 유가족들의 정신적 외상은 어떤 범죄 피해보다 높은 유병율을 보인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여타의 범죄와는 다른 유가족의 특수한 심리적 상황에 대해 알아보고 해외와 국내의 피해자 지원제도를 비교하여 유가족이 받은 외상 특성을 고려한 심리지원 및 개선 방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1. 유가족 사례
1) “제가 용인 일가족 살인사건 동생입니다.”라는 유명 유튜버의 고백

2017년 용인에서 발생한 일가족 살인사건 피해자의 유족이라고 밝히면서 6년이 지난 지금도 피해자의 모습이 마지막 모습이 매일 떠오르며 여전히 극심한 트라우마를 겪고 있다고 털어놨다. "어디서 말도 못 하고 마음에 품고 있다 보니 치유가 되는 게 아니라 곪아서 터지기 직전이었다. 세상에 비밀은 없고, 비밀이 있으면 병이 생긴다는 걸 깨닫게 됐다."라고 말했다.

2) “내 시계는 사건이 일어난 그 시각에 멈춰 있어요.
어느 유가족은 사건 후 2년이 넘게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내 시계는 사건이 일어난 그 시각에 멈춰 있어요.

참고 자료

Heidi, Z., Alyssa, A. R., Alesia, H., Benjamin, E. S., & Dean, G. K. (2009). Losing a loved one to homicide: Prevalence and mental health correlates in a national samples of young adults. Journal of Trauma Stress, 22, 20-27
김해숙․임남열․이혜진, 살인사건 피해 유가족의 심리적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 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2018, Vol. 24, No. 2, 301∼335.
Parkes, Psychiatric problems following bereavement by murder or manslaughter,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62, 1993, 49-54.
Redmond, Surviving: When someone you love was murdered: A professional's guide to group grief therapy for families and friends of murder victim, Clearwater, FL: Psychological Consultation and Education Services, 1989.
용서하지 않을 권리, 김태경, 2022
김태경, “살인사건 유가족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법무부 연구용역 보고서, 33, 2012
오토튜리뷴(https://www.autotribu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7316)
김태경, “살인사건 유가족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법무부 연구용역 보고서, 40-41, 2012
한국일보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6*************8)
국민일보(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8264488&code=61121211&sid1=hon)
살인피해자를 위한 안내서, https://victimsinfo.govt.nz 13) 서울스마일센터, “2014년 서울스마일센터 사업보고서”, 55-62, 2015
김태경, “살인사건 유가족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법무부 연구용역 보고서, 2012.
루키루
판매자 유형Gol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범죄심리학] 살인사건 피해 유가족의 지원강화를 위한 제도 비교 분석 소논문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2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