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국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실태와 발전방안

*종*
최초 등록일
2013.04.12
최종 저작일
2011.06
48페이지/ 한컴오피스
가격 4,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서론

Ⅱ. 이론적 분석
1. 정책평가의 정의
2. 정책평가의 필요성
3. 정책평가의 분류
4. 자체평가의 정의
5. 자체평가의 목적
6. 자체평가의 유형
7.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의 법적 근거
8.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의 목적
9. 연구의 분석틀

Ⅲ.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실태
1. 자체평가 환경의 실태
2. 자체평가 투입요소의 실태
3. 자체평가 과정의 실태
4. 자체평가 결과의 실태
5. 자체평가 결과 환류의 실태
6. 종합

Ⅳ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발전방향
1.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홍보
2.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의 개념과 목적 재정립
3.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 관련 평가기본법의 재정립
4. 평가 전담부서 및 전문 평가인력의 확충, 교육
5. 자체평가정보시스템과 자체평가모형의 구축
6. 자체평가위원회의 기능 강화
7. 평가결과 공개
8. 평가환류기능 강화

Ⅴ. 결론

본문내용

Ⅰ.서론
1980년대 신공공관리론(NPM)의 대두로 정부는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되고 기존에 정부가 사회를 지배하는 관리기법과는 다른 관리기법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신공공관리는 관료제 중심의 전통적 관리기법에 비해 특히 경쟁, 성과, 고객을 강조한다. 또한 시민사회의 발전과 뉴거버넌스의 대두로 인해 시민사회는 그동안 공공서비스 제공을 독점해온 국가에 대해 감시와 의혹의 눈길을 보내면서 정부의 책임성 강화와 함께 성과관리를 더욱 강하게 요청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우리나라 정부는 공공부문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정부활동의 성과를 체계적으로 평가, 관리하기 위해 2001년 1월 ‘정부업무 등의 평가에 관한 기본법’을 도입하게 되었다. 평가기본법의 제정 및 시행은 평가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 평가의 정당성을 제고하고 평가 기반을 정착하게 되었다.
2006년 이를 수정한 ‘정부업무평가기본법’은 정부업무평가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정함으로써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소속기관, 공공기관 등의 통합적인 성과관리체제의 구축과 자율적인 평가역량 강화를 통하여 국정운영의 능률성, 효과성, 책임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성과관리(Performance Management)는 ‘정부업무를 추진함에 있어서 기관의 임무, 중장기 목표, 연도별 목표 및 성과지표를 수립하고 그 집행 과정 및 결과를 경제성, 능률성, 효과성 등의 관점 하에서 관리하는 일련의 활동’으로 규정되고 있다. 성과관리를 통해 조직 구성원들은 목표 지향적 업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사회적, 경제적 책임과 도덕수준을 높일 수 있으며 개방적이고 투명하며 생산성 있는 정부를 만드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우광진, 2003:75)
앞서 언급한 새로운 관리기법(NPM)과 시민사회의 요구로 인한 성과관리의 중요성은 많은 예산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에도 예외일 수는 없다. 평가기본법에서 규정한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평가는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 18조)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제 21조) 가 있다.

참고 자료

김명수. (2000). “공공정책평가론”, 박영사
김주환, 이윤식, 제갈돈, 제갈욱, 박병식. (2006). 우리나라 자체평가시스템의 내실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0(1): 171-196
김현구. (2007). “성균관대학교 정책평가론 강의자료”
노화준. (2003). “정책평가론”, 법문사
라휘문, 한부영, 금창호. (2002). “지방자치단체의 자체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라휘문. (2003).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 발전방안”,정책분석평가학회보,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13권 1호.
류영아, 김건위. (2006).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운영에서의 장애요인 극복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8(3): 29-52
박우서. (2004).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제도의 개선방안(상,하)”. 자치행정.
박중훈. (2007). “통합평가제도상 자체평가의 운영실태 및 효과분석”, 한국행정연구원
박중훈. (2008). “정부업무평가 개선방향 : 자체평가를 중심으로”
박충훈, 이상미, 좌승희. (2007). “지방자치단체 정책평가제도의 연계 및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박충훈, 좌승희. (2008).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발전방안”. 경기개발연구원.
박충훈. (2009). 지방정부의 성과평가방식 비교연구. 경기개발연구원
박해육. (2004). “지방자치단체의 자체평가 활성화 방안” 지방정부연구, 제8권 제3호(2004 가을)
박해육, 하동현. (2010). 한국과 일본의 지방자치단체 평가제도 비교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2(4): 195-217
박희정. 박해육. 이병기. 김건위. 이혜영. (2004). “지방자치단체자체평가제도의 정착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한국지방행정연구원
박희정. (2004). “행정평가 소개”. 자치행정. 190: 71-73
박희정.박해육. (2005).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정책분석평가학회』제15권 제1호:113-144
배태영, 이재호. (2008). 지방정부의 자체평가 지표설정과 적용을 통한 조직 관리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2(4): 255-274
우광진. (2003). “캐나다 British Columbia 주 정부의 성과관리제도” 인사행정, 봄호.
유훈. (1992). “정책학 원론”, 법문사.
유민봉. (2005). “한국행정학”, 박영사
이병기. (2006).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성 확보를 위한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 - 자체평가 장애요인의 해소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이혜영. 김건위. 박해육. (2004)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 집행실태 분석- 정책집행론적 관점”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16권 제3호
전형원. (2007).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의 효율적인 운영에 관한 연구., 정치정보연구, 10(2): 237-256.
정정길. (1989). “정책학 원론”, 대명 출판사
정정길 외 (2004). “정책평가: 이론과 적용”, 법영사
차의환. (2007). “정책평가의 이론과 실제”, 한울아카데미
최용환. (2008).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발전방향”
Dunn, Willam N. (1994). Public Policy Analysis, second edition , Englewood Cliffs : Prentice Hall.
Glaser, E. M. and Backer, T. E. (1972) A clinical approach to program evaluation", Evaluation
Ingram, Gregory K. (2002), Lessons and Challenges for Performance Evaluation Developing a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in Korea",International Workshop with the World Bank and OECE, September
Nachmias, David (1979). “Public policy evaluation: Approaches and methods”, St. Martin's Press
Nachmias, David. (1980). “Introduction: Public Policy Evaluation: An Overview”. In David Nachmias(ed.). The Practice of Policy Evaluation. New York: St. Martin’s Press.
Orvill F. Poland (1974). Program Evaluation and Administrative Theory,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July-August
Sanderson, Ian. (1998). Beyond Performance, Assessing ‘Value’ in Local Government, Loca Government Studies. 24(4): 1-25.
Scriven (1972). Pros and Cons About Goal-Free Evaluation, Evaluation Comment, The Journal of Education Evaluation, December.
Smith, M.F. (1989). “Evaluability Assessment: A Practical Approach”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Vedung, Evert (1997). Pulbic Policy and Program Evaluation, New Brunswick: Transaction Publishers.
Wholey, Joseph S. (1970). “Federal evaluation policy: Analyzing the effects of public programs” , Urban Institute
*종*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국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제도의 실태와 발전방안 무료자료보기
  • 레이어 팝업
  • 프레시홍 - 특가
  • 프레시홍 - 특가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7월 1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8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