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지식과 이론에 관한 조사와 사회복지실천에 필요한 이론적 관점에 관한 연구·분석 리포트A+

에이플리포트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4.01.11
최종 저작일
2014.01
31페이지/ 한컴오피스
가격 15,9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본 리포트를 활용한다면 꼭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1. 본 리포트는 사회복지실천론 수업에서 A+를 받은 우수 리포트 입니다.
2. 본 리포트를 활용하여 좋은 결과가 있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목차

1. 사회복지실천의 지식과 이론
1) 지식과 이론
2) 사회복지실천의 패러다임과 지식
3) 사회복지실천의 지식 선정요건

2. 사회복지실천에 필요한 이론적 관점
1) 상호작용론
2) 생태체계 이론
3) 역량강화
4) 강점 관점
5) 레질리언스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회복지실천의 지식과 이론

전문가가 되기 위해선 전문 분야의 이론과 지식체계의 구축을 기반으로 실천적 기술과 적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사회복지실천 분야의 다양성만큼이나 그 지식의 범위는 개인, 사회, 개인과 사회의 물리적·심리적·경제적·정치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방대한 양의 지식체계의 구축은 사회복지를 공부하는 학생들과 실천가들에게 쉽지 않은 과업이지만 지식의 체계화는 사회복지사의 활동을 전문적이며 과학적으로 이끌게 된다.

1) 지식과 이론
지식은 무엇을 아는 상태 또는 어떤 현상이나 그 현상에 대한 설명을 사실이라고 믿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사실에 대한 믿음(true belief)”의 모든 것을 사회복지실천의 지식이라고 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서 사회복지에서 추구하는 지식은 사실이라고 믿어지는 것이 마땅한 이유와 절차에 의해 정해져야 하기 때문이다. 즉, 지식은 일상적 지식과 과학적 지식으로 나누어 상식에 기초한 믿음인지 혹은 체계화되고 검증된 방법을 통해 형성된 것인지로 분류할 수 있다.

<중 략>

③ 표현할 권리: 개인은 자신의 삶과 환경과 연관된 결정에 자기 스스로가 무엇을 원하는지 참여하고 표현할 권리가 있다. 이 권리는 자기 옹호와 자신의 문제에 대해 스스로를 대표할 수 있는 권한을 의미한다.
④ 능력을 가진 존재로 자신을 인식하고 사회로부터 인식되기: 클라이언트의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개인의 능력과 능력의 한계에 대해서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능력을 강화 혹은 약화시키는 기술, 동기와 환경 간의 상호작용을 볼 수 있는 생태학적 능력에 대한 개념화가 중요하다. 역량강화는 단순히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며, 특히 생태학적 능력의 부재 속에서는 출현할 수 없는 개념이다.
⑤ 힘의 이용: 긍정적 혹은 부정적 힘의 차이에 대해 규명하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역량강화 관점에서 중요한 이슈가 된다. 긍정적 힘이 개인과 집단을 지지하고 에너지를 부여하는 것이라면, 부정적 힘이란 개인 혹은 집단에게 갈 지지와 에너지를 절식하는 것이라 하겠다. 부정적 힘은 사회와 집단 안에서 힘의 수직 관계로 더 많은 힘을 가지고 있는 집단 혹은 사회가 그렇지 않은 집단에게 기회를 주지 않거나 그 힘의 수직관계를 계속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역량강화는 이 두 가지 힘의 속성을 파악하고, 그것을 이용할 수 있을 때 실행될 수 있다.

참고 자료

Bowell, T., & Kemp, G.(2005). Critical thinking; A concise guide Second edition,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Abingdon.
Sheppard, M.(1998). Practice validity, reflexivity and knowledge for social work, 28, 763-781.
Rogers, A. Y.(2010).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Second edition). Ra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Abingdon, p.3.
Kuhn, T. S.(1962). 김명자 역(1999). 과학혁명이 구조. 까치글방.
Schriver, J. M.(2011). Human behavior and the social environment: Shifting paradigms in essential knowledge for social work practice(5th ed). Boston: Ally & Boston Pearson Education, Inc.
Staub-Bernasconi, S. M.(2003). Social work as transdisciplinary science of social problems and social action-Program and educational practice in Social work education and practice in today’s Europe: Challenges and the diversity of response edited by Travaux réunis par, Christine Labonté-Rpset, Ewa Marynowicz- Hetka and Jerzy Szmagalski, Śląsk.
Goode, W. J.(1969). The theoretical limits of professionalization. in Amitai Etzioni, ed., The Semi-Professions and their organization. New York: The Free Press. pp.266-313.
Zastrow, C.(2007). The practice of social work: a comprehensive work text(8th ed.). Belmont: Thomson Books/Cole. p.4.
Hepworth, D. H., Rooney, R. H., Rooney, G. D., Strom-Gottfried, K., & Larsen J.(2006). Direct social work practice: theory and skills(7th ed). Toronto: Thomson Brooke/Cole.
Tomasello, M., Kruger, A. C., & Ratner, H. H.(1993). Cultural learning, Behavioral and Brain Science, 16, 495-552.
Blumer, H.(1986). Symbolic interactionism: perspective and metho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Forte, J. A.(2004a). Symbolic interactionism and social work: A forgotten legacy, part 1. Families in Society, 85(4), 391-400.
Forte, J. A.(2004b). Symbolic interactionism and social work: A forgotten legacy, part 2. Families in Society, 85(4), 521-530.
Vickery, A.(1974). A systems approach to social work intervention: its uses for work with individuals and families. The 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4(4), 389-404.
Forder, A.(1976). Social work and system theory. The 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6(1), 23-42.
Wakefield, J. C.(1996). Does social work need the eco-systems perspective? Part 1. Is the perspective clinically useful? Social Service Review, 70(1), 1-32.
이효선, Garz, D.(2006).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의 이해: 인간발달과 사회구조. 공동체.
류종훈(2005). 사회복지실천적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동인.
Norlin, J., & Chees, W.(1997). Human behavior and the social environment-social system theory. Allyn and Bacon.
Sanders, I. T.(1958). The community: An introduction to a social esteem. New York: Ronald Press.
Meyer, C.(1983). Clinical social work in ecosystems perspective. Columbia University Press.
Vickery, A.(1974). A systems approach to social work intervention: its uses for work with individuals and families. The 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4(4), 389-404.
Compton, B., & Galaway, B.(1989). Social Work Processes(4th ed.).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Lewin, K.(1961). Quasi-Stationary social equilibria and the problem of permanent change in The planing of change.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Pincus, A., & Minahan, A.(1973). Social work practice: model and method, Itasca: F. E. Peacock Publishers, Inc.
Pincus, A., & Minahan, A.(1977). Model for social work practice in Integrating social work methods, Specht, Harry, and Vickery, Anne edt., London: George Allen & Unwin LTD.
Germain, C. B., & Gitterman, A.(1995). Ecological perspective, in Edwards, R. L.(Eds), Encyclopedia of Social Work(Eds). Washington: NASW press.
Germain, C. B., & Gitterman, A.(1996). The life model of social work practivce.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Breton, M.(1994). On the meaning of empowerment and Empowerment-Oriented social work practice, Social Work with Groups, 17(3), 23-37.
Parsons, R. J.(1991). Empowerment: purpose and practice principle in social work, Social Work with Groups, 14(2), 7-21.
Torre, D.(1985). Empowerment: Structured conceptualization and instrument development. New York: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rnell University.
Conger, J. A., & Kanungo, R. N.(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3(3), 471-482.
Saleebey, D.(2000). Power in the people: strengths and hope. advances in social work, 1(2), 127-136.
Cohen, B.(1999). Intervention and supervision in Strengths-Based social work practice. Families in society, 80(5), 461-466.
Luthar, S. S., Cicchetti, D., & Becker, B.(2000). The construct of resilience: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s for future work. Child Development, 71(3), 543-562.
에이플리포트
판매자 유형Silver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지식과 이론에 관한 조사와 사회복지실천에 필요한 이론적 관점에 관한 연구·분석 리포트A+ 무료자료보기
  • 레이어 팝업
  • 프레시홍 - 특가
  • 프레시홍 - 특가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7월 1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8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