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ω-3 지방산과 심혈관계 질환(CVD)의 관계

*승*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4.01.27
최종 저작일
2013.12
19페이지/ MS 파워포인트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1. 서론

2. 본론
1) 오메가-3 지방산의 합성경로 및 대사
2) 심혈관계에서 오메가-3 지방산의 기능 및 예방효과

3. 결론

4. Reference

본문내용

1) 오메가-3 지방산의 합성경로 및 대사
우리의 식생활, 특히 지방섭취패턴은 시대에 따라 크게 변화

포화지방 섭취↑ 오메가-3 지방산 섭취↓ & 만성질병 증가

이 두 인자 사이의 부분적인 관련성이 제기
오메가-3에 대한 관심 증가

포화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의 대사와 기능은 현저한 차이를 가진다.

- 포화지방산 에너지원이 되지만 산화과정에서 콜레스테롤을 생성시키는 물질인 acetyl coA 생산

- 불포화지방산 에너지원이 되기보다는 leukotriene(LT), prostaglandins(PG), thromboxane(TX) 등을 생산해 항응고, 면역기능 강화

지방산의 합성경로

지방산의 합성경로는 동물과 식물에서 각각 다름

C2부터 C18:1n-9까지의 경로는 동일

oleic acid부터 LA(linoleic acid), ALA(a-linolenicacid)까지의 합성은 식물에서만 가능

불포화지방산은 종류에 따라 대사과정이 다름

참고 자료

신지예,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0)를 이용한 성인의 심혈관 질환과 식이패턴, 혈중 중금속 농도, 생선섭취와의 관련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2
Emken EA, Adlof RO, Gulley RM. “Dietary linoleic acid influences desaturation and acylation of deuteriumlabeled linoleic and linolenic acids in young adult males”. Biochim Biophys Acta 1994;1213(3):27788.
Burdge GC, Finnegan YE, Minihane AM, Williams CM, Wootton SA. Effect of altered dietary n3 fatty acid intake upon plasma lipid fatty acid composition,conversion of [13C]alphalinolenic acid to longerchain fatty acids and partitioning towards betaoxidation in older men. Br J Nutr 2003;90(2):31121.
정보영, 오메가3 지방산의 식품중 분포와 생리학적 기능, 한국작물학회지, 1997
Burdge G, Alphalonolenic acid metabolism in men and women: nutritional and biological inmlications, Curr Opin Clin Nutr Metab Care, 2004
Mazaffarian DM, Ascherio A, Hu FB, Interplay between different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men, Circulation, 2005
문태영, 서재수, 송명재, 오메가3 지방산의 심혈관계 보호기능, 보건과학연구소보, 2008
Chen I. S., S. Subramaniam. M. Cassidy, A. D. Sheppard and G. V. Vahouny, J. Nutr, 1985
이혜란, “중년여성에서 신체활동과 비만의 상호작용이 심혈관 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아주대학교,2011
Trevor A. Mori, “Dietary n3 PUFA and CVD: a review of the evidence”, Proceedings of the Nutrition Society, Page 1 of 8
Thies F, Garry JMC, Yaqoob P et al. (2003) Association of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with stability of atherosclerotic plaques: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Lancet 361, 477–485.
Harris WS (1996) “n3 Fatty acids and lipoproteins: comparison of results from human and animal studies”. Lipids 31, 243–252.
Harris WS (1997) “n3 Fatty acids and serum lipoproteins:human studies”. Am J Clin Nutr 65, Suppl. 5, 1645S–1654S.
박용순,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지표로서 Omega3 Index에 대한 올바른 이해 및 한국인에의 적용”, 대한비만학회지: 제 19 권 제 1 호 2010, pp. 724~727
Mori TA, Burke V, Puddey IB, Watts GF, O'Neal DN, Best JD, et al. “Purified eicosapentaenoic and docosahexaenoic acids have differential effects on serum lipids and lipoproteins, LDL particle size,glucose, and insulin in mildly hyperlipidemic men”. Am J Clin Nutr 2000;71(5):108594.
von Schacky C. “A review of omega3 ethyl esters for cardiovascula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creased blood triglyceride levels”. Vasc Health Risk Manag 2006;2(3):25162.
박선혜, 심혈관계 질환에 오메가3 지방산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n3 fatty acid on cardiovascular disease,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9
Din JN, Newby DE, Flapan AD. “Omega 3 fatty acids and cardiovascular diseasefishing for a natural treatment”. BMJ 2004;328(7430):305.
Harris WS, Park YS, Isley WL. “Cardiovascular disease and longchain omega3 fatty acids”. Curr Opin Lipidol 2003;14(1):914.
Park YS, Harris WS. “EPA, but not DHA, decreases mean platelet volume in normal subjects”. Lipids 2002;37(10):9416.
Trevor A. Mori, “Dietary n3 PUFA and CVD: a review of the evidence”, Proceedings of the Nutrition Society, Page 1 of 8
Siess, W., P. Roth, B. Scherer, I. Kurzmann, B. Bhlig and P. C. Weber(1980), Lancet. I, 441
O'Keefe JH Jr, Abuisssa H, Sastre A, Sterinhaus DM,Harris WS. “Effects of omeg3 fatty acids on resting heart rate, heart rat recovery after exercise,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men with healed myocardial infarctions and depressed ejection fraction”. Am J Cardiol 2006;97(8):112730.
정세원, 김지연, 백주은, 김주희, 곽진숙, 권오란,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을 중심으로 한 오메가3 지방산 함유유지의 혈행개선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2013;46(3) 226~238
Ricky Turgeon, Fred janke, Michael R. Kolber, Omega3 for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Can Fam Physician, 2012; 58(11):1225 곽상미, 오메가 3 지방산 보충제의 심혈관계 질환 이차발생 예방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2
Atul Singhal, Julie Lanigan, Clare Storry, Sarah Low, Toni Birbara, Alan Lucas and John Deanfield , Docosahexaenoic Acid Supplementation, Vascular Function and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Young Adults, J Am Heart Assoc. 2013; p7
*승*
판매자 유형Gol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ω-3 지방산과 심혈관계 질환(CVD)의 관계 12페이지
    < 고급영양학 >ω-3 지방산과 심혈관계 질환(CVD)의 관계목차서론3본론4오메가 ...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지표로도 활용되고 있다.오메가-3 지방산에는 EPA와 ... 이런 이유로 오메가-3 지방산의 섭취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억제
  • 지질 25페이지
    스테로이드 호르몬, 비타민 D 합성에 사용됨.지질과 건강 1.지질대사 이상: 심혈관계질환 ... 3, ω-6계 다가불포화 지방ω-3 다가불포화 지방산 :오메가 말단(- ... 예방ω-3 지방산의 생리적 기능 혈청지질 감소;TG, VLDL, Cholesterol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ω-3 지방산과 심혈관계 질환(CVD)의 관계
  • 레이어 팝업
  • 프레시홍 - 특가
  • 프레시홍 - 특가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7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6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