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이론개발전략을 활용한 이론개발 (합성 전략, 만성질환 자가간호 이론, 개념분석)

아기도깨비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2.09.17
최종 저작일
2022.06
13페이지/ 어도비 PDF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간호이론개발 최종과제
이론개발전략을 선택하여 관심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개발하고 서술

목차

Ⅰ. 서론
1. 관심 현상의 선택 이유, 이론과 실무에서의 의의

Ⅱ. 본론
1. 문헌고찰
2. 이론개발 전략의 선택 이유
3. 과정 적용(합성된 이론의 설명과 주요 개념, 개념 간 관계 진술 포함)

Ⅲ. 결론
1. 이론, 실무를 위한 제언

본문내용

1. 관심 현상의 선택이유, 이론과 실무에서의 의의
대표적인 만성질환 중 하나인 뇌졸중은 연간 약 11만 명이 발생하고 2030년에는 약 35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는 심각한 질환이다(Kim et al., 2019). 인구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뇌졸중의 발생률이 증가할 뿐 아니라 뇌졸중 환자 중 고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져 뇌졸중 환자의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전략 모색이 필수적이다.
뇌졸중의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전략이 중요한 이유는 뇌졸중의 재발률이 25~30%로 높은 질환이며(조유정, 현명선, & 박진희, 2019), 발병 후 재발률이 1년 이내 5.5%, 3년 이내 10%로 발병 후 시간이 지날수록 재발 가능성이 높아진다(고영채 et al., 2009). 게다가 재발 뇌졸중은 초발 뇌졸중보다 장애 정도가 심하고 치명률이 높아 뇌졸중 환자에게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Chung & Kim, 2015).
자가간호는 질병 조절이 가능하지만 조절되지 않으면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는 만성질환자에게 중요한 요소이며, 급성기 이후에도 의식저하, 신체 마비나 허약함, 언어장애, 연하장애, 인지장애와 같은 신경학적 장애가 남을 수 있어 만성질환의 관리로써 자가간호가 필요하다 (류세앙, 김화영, & 나은하, 2018). 최대 10 년간 적극적인 자가간호를 수행한 뇌졸중 환자는 재발률과 사망률이 감소한다는 보고에 따르면(Cheng et al., 2017) 뇌졸중 환자의 자가간호는 매우 중요하다.

<중 략>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포함하여 만성질환 자가간호 이론 중심의 자가간호 요인을 밝히고 그 관계를 파악하는 것은 뇌졸중 환자의 자가간호 중재의 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새로운 연구가 축적되면 실무를 이끄는 데 유용한 확실한 근거 기반 지식을 만들기 위해 이론을 수정하거나 다듬을 수 있기 때문에 (Riegel, Jaarsma, Lee, & Strömberg, 2019) 자가간호 과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된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포함하는 이론개발전략은 다른 개념의 확대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제시할 것이다 (Riegel et al., 2019).

참고 자료

Appalasamy, J. R., Joseph, J. P., Ramaiah, S. S., Quek, K. F., Zain, A. Z. M., & Tha, K. K. (2019). Exploring stroke survivors’ self-efficacy in understanding and taking medication and determining associated factors: a cross-sectional study in a neurology clinic in Malaysia. Patient preference and adherence, 13, 1463.
Cheng, Y.-Y., Shu, J.-H., Hsu, H.-C., Liang, Y., Chang, S.-T., Kao, C.-L., & Leu, H.-B. (2017). The impact of rehabilitation frequencies in the first year after stroke on the risk of recurrent stroke and mortality.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26(12), 2755-2762.
Chung, J. W., & Kim, J.-H. (2015). Factors related to fear of recurrence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2(2), 190-197.
Kim, J. Y., Kang, K., Kang, J., Koo, J., Kim, D.-H., Kim, B. J., . . . Bae, H.-J. (2019). Executive Summary of Stroke Statistics in Korea 2018: A Report from the Epidemiology Research Council of the Korean Stroke Society. J Stroke, 21(1), 42-59. doi:10.5853/jos.2018.03125
Riegel, B., Jaarsma, T., Lee, C. S., & Strömberg, A. (2019). Integrating symptoms into the middle-range theory of self-care of chronic illness. AN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42(3), 206.
Riegel, B., Jaarsma, T., & Strömberg, A. (2012). A middle-range theory of self-care of chronic illnes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35(3), 194-204.
Smith, M. J., & Liehr, P. R. (2018). Middle range theory for nursing: Springer Publishing Company.
Von Wagner, C., Steptoe, A., Wolf, M. S., & Wardle, J. (2009). Health literacy and health actions: a review and a framework from health psychology. Health Education & Behavior, 36(5), 860-877.
고영채, 김욱주, 양미화, 오창완, 백남종, 한문구, . . . 권오기. (2009). 일개 병원기반 코호트에서 관찰한 장기간의 뇌졸중 재발률. [The Long-term Incidence of Recurrent Stroke: Single Hospital-based Cohort Study]. 대한신경과학회지, 27(2), 110-115.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101609698
김민경, 이혜련, 권주연, & 오현수. (2013). 뇌졸중 환자의 건강행위에 대한 영향요인 및 매개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5(6), 610-621.
김성은, 오진아, & 이윤미. (2013). 건강정보 이해능력(Health Literacy)에 대한 개념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9(4), 558-570.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100291924
김준엽, 배희준, & 박종무. (2019). 뇌졸중 역학보고서, 2018. 주간 건강과 질병, 12(43), 1845-1860.
류세앙, 김화영, & 나은하. (2018).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뇌졸중 환자의 자가간호 이행 영향요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4), 305-314.
박영남, & 김철규. (2019). 지방 종합병원을 방문한 허혈성 뇌졸중 노인 환자의 건강정보 활용능력과 뇌졸중 지식이 자가간호 이행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1(5), 573-583.
이원주, & 이지원. (2020). 뇌졸중 환자의 스트레스와 통합성이 건강행위 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1), 232-239.
정영주, & 김희선. (2021). 뇌졸중 환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질병인식이 재활이행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28(3), 331-342.
정지민, & 차지은. (2020). 뇌졸중 환자의 건강행위 영향요인: 뇌졸중 환자와 가족 돌봄제공자 건강정보이해능력을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2(6), 632-641.
조유정, 현명선, & 박진희. (2019). 뇌졸중 환자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와 건강증진행위.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Patients with Stroke]. 근관절건강학회지, 26(3), 167-174.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106482652
최연옥, & 이주희. (2017).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뇌졸중 지식과 재발염려가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최정희, & 박완주. (2021). 중년기 초발 뇌졸중 환자의 성향적 낙관성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건간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재활간호학회지, 24(1), 34-45.
아기도깨비
판매자 유형Gol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이론개발전략을 활용한 이론개발 (합성 전략, 만성질환 자가간호 이론, 개념분석)
  • 레이어 팝업
  • 프레시홍 - 특가
  • 프레시홍 - 특가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7월 1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8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