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간호대학생의 수면의 질과 우울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계획서(간호연구와 통계)

제비꽃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4.06.04
최종 저작일
2023.06
31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10,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조별과제였으나 자발적으로 혼자 작성한 연구계획서라 문맥의 흐름이 이상하지 않을 것입니다.
2차 출처까지 모두 확인하여 참고문헌에 넣었습니다.
발표당시 교수님에게 좋은 평을 들었습니다.
연구계획서 마지막에 있는 설문조사지는 제가 직접 표까지 하나하나 다 한글파일로 만든 것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용어 정의

Ⅱ. 문헌고찰
1.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
2. 간호대학생의 수면의 질, 우울
1) 수면의 질
2) 우울

Ⅲ.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 대상
3. 연구 도구
4.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5. 자료분석 방법
6. 연구의 한계점
7. 간호학적 의의

Ⅳ. 기대되는 연구결과

V. 참고문헌

VI. 부 록

본문내용

여러 전공 중 간호대학생은 학업량이 많고 시험이나 성적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은 편이다(Lee SH, Kang MK, 2017; Yeom E, Seong J, 2016). 이론수업과 임상실습을 병행하는 간호학의 특성 상 수면의 질이 위협받기 쉬운 학습 여건에 놓여있으며 간호대학생의 불면증 유병률이 50%에 달한다는 선행연구 결과(Cho OH, Hwang KH, 2017)가 이를 뒷받침한다. 간호대학생의 수면의 질은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특히 정서적으로 우울하거나, 학업성취에 불만족한 경우 그리고 임상실습 및 수업으로 인한 스트레스 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한정진, 김세민, 전혜리, 유지호, 2020) 더욱이 대학생은 학업과 취업에 대한 압박감으로 수면문제와 우울과 같은 정서적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Kim, Song, & Yeon, 2009). 수면의 질이 좋지 않으면 수면장애, 비만, 심혈관계질환 등 신체적 측면에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Lucassen et al, 2013). 신체 건강의 악화는 학업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간호대학생은 이로 인해 대학생활 부적응, 나아가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김건희&황은희, 2018).
수면은 인간의 필수적인 삶의 영역으로 신체적‧심리‧정신적 기능을 회복하고 항상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생활 행동 양상이다(Foreman & Wykle, 1995). 수면의 질이 저하될 경우 집중력 저하, 기억 장애, 의사결정 부족, 학업능력 저하, 피로, 불안, 우울 등의 문제를 초래하는데(김경희와 윤희상, 2013), 정선희와 박종(2013)의 연구에서 한국 대학생의 56.4 %가 수면장애가 있었다. 특히 상당수의 간호대학생은 불면증을 호소하고 낮은 수면의 질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강지숙과 황은희, 2014; 정경순과 박의정, 2016; 황은희 등, 2016).

참고 자료

강지숙, 황은희(2014). 일 대학 간호학과 학생의 수면의 질과 우울의 상관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1), 810-819.
김건희, 황은희. (2018). 간호대학생의 불면증, 수면의 질, 우울 및 일주기 리듬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2(2), 263-274.
김경희, 윤희상(2013).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수면 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22(4), 320-329.
김요섭, 윤태형, 김태훈. (2011).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습전략과 학업 성취도 연구.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1(1), 39-47.
김진현, 김성재, 방경숙, 고진강, 이남주, 유주연. (2012). 간호교육 :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 만족도와 교육요구도.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9(2), 127-135.
김주연, 김현옥 and 이명하. (2019).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5(2), 205-213.
권경아. (2021). 수면의 질과 우울의 관련성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서울.
권미형. (2020). 임상실습 중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수면의 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5(10), 169-177
박안숙, 김혜경(2016),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 및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2): 511-519, DOI: https://doi.org/10.5762/KAIS.2016.17.2.511
신승화, 김수현, 한국어판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K-PSQI)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융합정보논문지. 2020;10:148-55.
이은하. (2019). 간호대학생의 우울, 불안, 수면의 질이 주간과다졸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2), 148-156.
이화인. (2008). 간호대학생의 자존감 및 우울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2(1), 97-107.
유수정, 송미령 and 김은만. (2014). 간호대학생의 우울정도 및 영향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 71-80.
정은자 and 이유미. (2020). 간호대학생들의 피로,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 관계. 문화기술의 융합, 6(4), 311-316.
정경순 and 박의정. (2017).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수면의 질, 정신건강간의 관계. 대한통합의학회지, 5(4), 67-76.
정선희, 박종(2013).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수면장애 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자통신학회지, 12(2), 170-177.
조인영(2014), “간호학과 신입생의 진로정체감, 전공만족도 및 대학생활적응 상관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5): 2937-294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5.2937
조진희, 조성중 and 권민희. (2021). 정신건강의 상태와 학업 성취도의 상관관계: 2018년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 결과.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11(1), 46-51.
조희, 이규영(2006). 간호대학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정체감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학회지, 20(2), 163-173.
차주애, 김진희. (2020). 플립러닝이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성취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혼합연구 설계 적용.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6(1), 25-35.
최순옥・박진경・김상희(2015),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영향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1(2): 182-189,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2.182
한정진, 김세민, 전혜리, 유지호.(2020).간호대학생의 시험불안, 문제음주, 우울, 수면의 질의 관계 -고카페인 음료 섭취를 중심으로-.Health & Nursing,32(2),19-28.
한미현. (2017).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정보통계학회지, 42(1), 36-43.
A. Aradilla-Herrero, J. Tomás-Sábado, and J. Gómez-Benito, “Association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Depression and Suicide Risk in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Vol. 34, No. 4, pp. 520-525, Apr. 2014. DOI: 10.1016/j.nedt.2013.07.001
A. Christensson, M. Vaez, P. W. Dickman, and B. Runeson, “Self-reported Depression in First-year Nursing Students in Relation to Socio-demographic and Educational Factors: a Nationwide Cross-sectional Study in Sweden,”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Vol. 46, No. 4, pp. 299–310, Apr. 2011. DOI : 10.1007/s00127-010-0198-y
A. Tomoda, K. Mori , M. Kimura , T. Takahashi, and T. Kitamura, “One-year Prevalence and Incidence of Depression among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in Japan: a Preliminary Study,” Psychiatry Clinical Neurosciences, Vol. 54, No. 5, pp. 583–588, Dec. 2000. DOI: 10.1046/j.1440-1819.2000.00757.x
Ary D, Jacobs L, Razavieh A. Introduction to research in education. 6th ed. Belmont, CA: Wadsworth Thompson Learning; 2002. p.1-582.
Barron, D., We.,st, E., & R. Reeves(2007), “Tiedto the job: affective and relationalcomponents of nurse retention”, Journal of Health Services Research & Policy, 12(1): 46-51, <DOI: http://dx.doi.org/10.1258/135*************19>.
Byun J. The Relationship of Participation with Combined Exercise on the Sleep Duration and Sleep Quality in Older Women. The Korean Journal of Sport 2018;16(3):363-373.
Blatt, S. J. D'Afflitti, J. P., & Quinlan, D.M. (1976). Experiences of depression inyoung adults. J Abnorm Psychol, 85, 383-389.
Buysse, D. J., Reynolds, C. F., 3rd, Monk, T. H., Berman, S. R., & Kupfer, D. J. (1989).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28(2), 193–213. https://doi.org/10.1016/0165-1781(89)90047-4
Chaung, S. K. (201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1), 71-78
Cho OH, Hwang KH. The impacts of social isolation,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sleep disorder of nursing college students on depress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7;15(11):329-338
D. O. Kim, H. J. Lee, and A. Y. Lee,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hysical Health Status,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earning Flow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11, No. 1, pp. 349-357, Jan. 2020. DOI: 10.15207/JKCS.2020.11.1.349
Do SL. Emotion and classroom talk: Toward a model of affect in students' experiences of classroom discussio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05;19(1):17-39.
E. J. Shim, “The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23, No. 12, pp. 663-689, Dec. 2016. DOI: 10.21509/KJYS.2016.12.23.12.663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1994). The dictionary of educational studies. Seoul: Hawoo.
Foreman MD, Wykle M(1995). Nursing standard of practice protocol: Sleep disturbances in elderly patients. Geriatr Nurs, 16(5), 238-243.
Han, S. H. (2018). The relationships amo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knowledge achievement,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5), 661-671. https://doi.org/10.21742/AJMAHS.2018.05.10
Jung S, Park J. Effect of Life Stress on the Sleeping Disorder of University Student.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2013;8(2):345-353.DOI: https://doi.org/10.13067/JKIECS.2013.8.2.345
Jeong, M. H., & Shin, M. A.(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atisfaction in major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2(2), 170-177.
Jimenez, C., Navia-Osorio, P. M., & Diaz, C. V. (2010). Stress and health in novice and experienced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 442-455.
Kim, K. J. (2004). The relationships among study shills, learning motivation academic adjustments and academic achievements of college students. Educ Prog, 23(1), 2-13.
Kim, K. H., & Kim, K. H. (2011). Anger, depression and self-esteem among female students in nursing colleg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3), 233-241.
Kim KH, Kang SB.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llege Life Adjustment Scale for University Freshme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2016;10(3):25
Kim SJ. Recent Advances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20 Jan-1;59(1):1.DOI: https://doi.org/10.4306/jknpa.2020.59.1.2
Kim Y, Joo H, Jung S, Lee K. A Study of Early Bird Effects in Adolescents' Academic School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2013;44(3):271-290)
Kim, H. S., Eom, M. R., & Kim, E. K. (2010). Sleep patterns and circadian types of nursing students during shift schedu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1), 43-51. http://dx.doi.org/10.4040/jkan. 2010.40.1.43
Lee S, Oh S, Ryu S, Jun J, Lee K, Lee E, et al.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center for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revised(KCESD-R).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Medicine. 2016;24(1):83-93.
Lee SH, Kang MK. The coping and the highꠓcaffeinated drink consumption according to test anxiety in college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7;7(8):727-739
Lee CW, Jeon S, Cho S, Kim SJ. Insufficient Sleep and Visuospatial Memory Decline during Adolescence.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2019;26(1):16-22.DOI: https://doi.org/10.14401/KASMED.2019.26.1.16
Lucassen, E. A., Zhao, X., Rother, K. I., Mattingly, M. S., Courville, A. B., de Jonge,L., Csako, G., Cizza, G., & for the Sleep Extension Study Group. (2013). Evening Malmivuori ML. Affect and self-regula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006;63(2):149-164.
O'Donnell, H. (2009). The emotional impact of nursing student attrition rates. The British Journal of Nursing. 18, 745-754
Pace, C. R., & Ree, Q. (1979). The college environment. Educ Res, 30, 311-320.
Park, H. J., & Jang, I. S. (2010). Stress, depression, coping style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 14-23.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1.014
Park, J. O. (2006). The relationship of achievement goal, learning styles, Psychological well-being academic achievement.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R. T. Mikolajczyk, A. E. Maxwell, W. E. I. Ansari, V. Naydenova, C. Stock, S. Ilieva, U. Dudziak, and I. Nagyova,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in University Students from Germany, Denmark, Poland and Bulgaria,”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Vol. 43, No. 2, pp. 105–112, Feb. 2008. DOI: 10.1007/s00127-007-0282-0
Radloff L.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J Clin ExpNeuropsychol. 1997;19:340-356
Reeve, K.L., Shumaker, C. J., Yearwood, E. L., Crowell, N.A., & Riley, J. B. (2013). Perceived stress and social support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educational experiences. Nurse Education Today. 33, 419-424.
Rovai AP, Wighting MJ, Baker JD, Grooms LD. Development of aninstrument to measure perceived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learning in traditional and virtual classroom higher education settings.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2009;12(1):7-13.
Shin, S. J., Yang, E. B., Hwang, E. H., Kim, K.H., Kim, Y. J., & Jung, D. Y. (2017).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nursing education for clinical practice.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19(2), 76-82. http://dx.doi.org/10.17496/kmer.2017.19.2.76
Shiaki, N., Shono, M., & Kitamura, T. (2009). Effects of coping styles and stressful life events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Japanese nursing students: A longitudi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5, 198-204.
P. Verger, J. B. Combes, V. Kovess-Masfety, M. Choquet, V.Guagliardo, F. Rouillon, and P. Peretti-Wattel, “Psychological Distress in First Year University Students: Socioeconomic and Academic Stressors, Mastery and Social Support in Young Men and Women,”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Vol. 44, No. 8, pp. 643–650, Aug. 2009. DOI: 10.1007/s00127-008-0486-y
Park, K. H. (2008). Development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estimate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6), 779-788.
Park M, Chung MY. Quality of Sleep and Affecting Factors according to Gender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8; 16(9):187-195. DOI: https://doi.org/10.14400/JDC.2018.16.9.187
Park MJ, Ryu SY, Park J, Han MA. The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Sleeping Time and Sleep Deprivation among Som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2015;40(1)
Por, J., Barriball, L., Fitzpatrick, J., & Roberts, J. (2011). Emotional intelligence: Its relationship to stress, coping, well-being and professional performance in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31, 855-860.
W. M. Chernomas, and C. Shapiro,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Vol. 10, No. 1, pp. 255-266, Jan. 2013. DOI: 10.1515/ijnes-2012-0032
Y. H. Kim, “Effects of Depression, Self Esteem and Ego Identity on Test Anxie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3, No. 4, pp. 2003-2013, Aug. 2011.
Y. H. Lee, J. Y. Song,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10, pp. 98-113, 1991.
Yu JH, Lee SJ.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cademic emotion regulation scal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12;26(4):1137-1159.
Yeom E, Seong J. The influence of career identity, job-seeking stress, self control on test anxiety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2016; 17(2): 57-69
H. J. Park, and I. S. Jang, “Stress, Depression, Coping Style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6, No. 1, pp. 14-23, June 2010. DOI: 10.5977/JKASNE.2010.16.1.014
제비꽃
판매자 유형Silver개인인증
해당 판매자는 노하우톡 기능을 사용하는 회원입니다.노하우톡
* 노하우톡 기능이란?노하우 자료를 판매하는 회원에게 노하우 컨설팅, 활용방법 등을 1:1 대화를 통해 문의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간호대학생의 수면의 질과 우울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계획서(간호연구와 통계)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2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8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