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국중세사]무신집권기 농민항쟁과 고려 후기 사회변동

*석*
최초 등록일
2006.08.08
최종 저작일
2006.03
29페이지/ 한컴오피스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고려 사회가 갖고 있던 기존의 모순구조에 대한 위로부터의 대응이 무신정변이었다고 하면, 무신집권기의 농민항쟁은 아래로부터의 대응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무신집권기 농민항쟁이 기존의 모순구조 속에서 파생된다는 점에서 볼 때, 이것은 결코 우연한 현상이 아니며 고려사의 발전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한 역사적 사건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고려 전기 사회의 모순구조와 고려 후기의 사회변동에 대해 고찰하고자 할 때 반드시 규명해야 할 부분이 무신집권기 농민항쟁이다.
이 글에서는 무신집권기 농민항쟁과 고려 후기 사회변동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무신집권기에 발생한 농민항쟁에 초점을 두어 농민항쟁을 파생시킨 고려 전기 사회의 모순구조는 어떤 것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무신집권기 농민항쟁 특히, 항쟁이 가장 치열했던 최씨집권기의 농민항쟁이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어떤 성격을 띄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무신집권기 농민항쟁이 이끌어낸 고려 후기 사회의 변화된 모습을 사회경제적 측면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무신집권기 농민항쟁이 갖는 역사적 의의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고자 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무신집권기 농민항쟁의 원인
1. 정치적 원인 - 12세기에 나타난 대민책을 중심으로
2. 경제적 원인
3. 사회적 원인
Ⅲ. 무신집권기 농민항쟁의 전개 - 최씨정권기를 중심으로
1. 천민들의 항쟁
2. 경상도 지역의 신라부흥운동
3. 강화도정부 시절의 농민항쟁
Ⅳ. 고려 후기 사회변동과 무신집권기 농민항쟁의 역사적 의의
1. 고려 후기의 사회변동 - 사회경제적 측면을 중심으로
2. 무신집권기 농민항쟁의 역사적 의의
Ⅴ. 맺음말

본문내용

이렇게 고려 후기로 갈수록 토지소유의 불균이 확대되는 원인은 무엇일까. 정치적인 측면에서는 권력구조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 즉, 고려 전기까지는 관료체제가 국왕을 중심으로 균형을 이루면서 발전하였으나, 12세기 이후 정치운영을 특정 세력이 주도하면서 세력 유지를 위해 농장을 운영하였다. 12세기 초의 인주이씨 일족이나, 무신정권기 집권자들 특히 최씨정권, 그리고 원 간섭기의 부원세력이 바로 대토지소유의 주체가 되었다. 관료체제의 불균형이 농장 발달의 한 원인이 될 수 있다. 사회적으로는 농민항쟁과 몽고와의 전쟁으로 늘어난 陳田의 문제가 있다. 진전을 개간하여 형성된 농장은 소유지집적형 농장이라 비법적 수조권에 근거한 농장과는 구별이 된다. 그러나 賜牌의 불법적 사용을 통한 토지탈점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었기 때문에 진전의 발생 또한 불법적 대토지경영의 한 원인이 될 수 있다.
탈점에 의해 형성된 농장은 전주권의 불법적인 확대에 기초한 것이므로, 수조지에서의 수취강화와 수조지의 양적 확대라는 두 방향으로 진행된다. 이 둘은 별개로 진행된 것이 아니고 함께 이뤄졌다. 즉, 양적으로 확대되면서 수취의 강도도 강해진 것이다. 수취강도의 강화는 수조권과 소유권의 균형을 파괴하고 수조권에 의한 소유권 침해를 가져왔다. 농민의 소유권은 피탈되고, 토지는 농장주의 소유지가 되어갔다. 수조권의 강화와 그로 인한 소유권 침해는 결국 수조권 자체의 소멸과 소유권에 입각한 토지지배관계의 성립을 촉진하였다. 중세사회의 토지소유구조가 가진 특성이자 한계였던 수조권은 농장의 발달단계에서 그 존립의 한계를 드러냈다.
속현과 부곡지역은 고려 후기 이래 주민의 이탈이 심해 군현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였다. 따라서 군현 개편은 속현과 부곡지역을 주현에 내속시키거나 주현의 직할촌으로 편입시키고, 혹은 몇 개 속현과 부곡지역을 합쳐 군현으로 승격시키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시책은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어 군현제와 부곡제의 복합적이고 계서적인 고려 특유의 군현체제는 사실상 해체되었다. 즉, 500여 개의 군현과 900여 개의 부곡제지역이 조선 초기 330여 개의 군현으로 축소되어 개별 군현에 대한 국가의 직접 지배가 가능한 군현 지배 방식으로 전환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군현 개편은 조선 태종, 세종 때까지 지속적으로 추진되었다. 그러므로 고려 후기의 군현 개편은 조선적인 군현 개편으로의 본격적인 출발점이 되었으며, 고려에서 조선왕조로 왕조교체가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참고 자료

1. 사료·역주서
ꡔ高麗史ꡕ : 누리미디어, ꡔ高麗史ꡕ
ꡔ高麗史節要ꡕ : 民族文化推進會, ꡔ高麗史節要ꡕ
ꡔ東文選ꡕ : 民族文化推進會, ꡔ東文選ꡕ
ꡔ新增東國輿地勝覽ꡕ : 民族文化推進會, ꡔ新增東國輿地勝覽ꡕ

2. 단행본
朴宗基, ꡔ高麗時代 部曲制硏究ꡕ,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0.
朴宗基, ꡔ지배와 자율의 공간, 고려의 지방사회ꡕ, 푸른역사, 2002.
申採湜, ꡔ東洋史槪論ꡕ, 三英社, 2004.
韓國歷史硏究會 編, ꡔ고려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 까ꡕ1(改訂版), 청년사, 2005.
3. 논문
姜晉哲, 「蒙古의 侵入에 대한 抗爭」, ꡔ한국사ꡕ7, 국사편찬위원회, 1973.
金光植, 「高麗崔氏武人政權과 斷俗寺」, ꡔ建大史學ꡕ7, 建國大學校 史學會, 1989.
金光植, 「雲門寺와 金沙彌亂 - 고려 중기 사원세력의 일례 - 」, ꡔ한국학보ꡕ15, 일지사, 1989.
金秉仁, 「ꡔ高麗圖經ꡕ「人物」條에 나타난 ‘族望’과 고려중기의 정치세력」, ꡔ전남사학ꡕ19, 전남사학회, 2002.
金潤坤, 「별초군의 조직」, ꡔ한국사ꡕ18, 국사편찬위원회, 1993.
金潤坤, 「李資謙의 세력기반에 대하여」, ꡔ민족문화연구총서ꡕ25, 영남대학교 민족문제연구소, 2001.
金載名, 「공전·사전과 민전」, ꡔ韓國史ꡕ14, 국사편찬워원회, 1993.
金晧東, 「고려 무인정권하에서의 경주민의 동태와 신라부흥운동」, ꡔ민족문화논총ꡕ2·3,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2.
金晧東, 「12, 13세기 농민항쟁의 전개와 성격」, ꡔ한국사ꡕ6, 한길사, 1994.
朴龍雲, 「고려는 귀족사회임을 다시 논함」상·하, ꡔ한국학보ꡕ93·94, 일지사, 1998·1999.
朴宗基, 「武人執權期 農民抗爭 硏究論」, ꡔ한국학논총ꡕ12,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89.
朴宗基, 「12, 13세기 농민항쟁의 원인에 대한 고찰」, ꡔ동방학지ꡕ69,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1.
朴宗基, 「예종대 정치개혁과 정치세력의 변동」, ꡔ역사와 현실ꡕ9, 한국역사연구회, 1993.
朴宗基, 「고려의 군현체계와 계수관제」, ꡔ한국학논총ꡕ8, 국민대학교, 1986.
朴宗基, 「고려시대 부세수취와 속현」, ꡔ역사와 현실ꡕ31, 한국역사연구회, 1999.
박종진, 「고려시기 ‘수취단위’의 의미와 속현의 지위」, ꡔ역사와 현실ꡕ32, 한국역사연구회, 1999.
方基中, 「백남운 연구1」, ꡔ역사비평ꡕ1989년 여름호, 역사문제 연구소, 1989.
白南雲, 「農民一揆」, ꡔ朝鮮封建社會經濟史ꡕ上, 改造社(東京), 1937.
邊太燮, 「萬積亂 發生의 社會的 素地」, ꡔ史學硏究ꡕ4, 韓國史學會, 1959.
邊太燮, 「農民·賤民의 亂」, ꡔ한국사ꡕ7, 국사편찬위원회, 1973.
徐聖鎬, 「숙종대 정국의 추이와 정치세력」, ꡔ역사와 현실ꡕ9, 한국역사연구회, 1993.
申安湜, 「대몽항쟁기 민의 동향」, ꡔ역사와 현실ꡕ7, 한국역사연구회, 1992.
安秉佑, 「고려 후기 농장의 발달과 사전의 개혁」, ꡔ한국사ꡕ6, 한길사, 1994.
吳英善, 「인종대 정치세력의 변동과 정책의 성격」, ꡔ역사와 현실ꡕ9, 한국역사연구회, 1993.
魏恩淑, 「고려후기 사적 대토지소유와 경영형태」, ꡔ한국중세사연구ꡕ1, 한국중세사학회, 1994.
劉承源, 「고려사회를 귀족사회로 보아야 할 것인가」, ꡔ역사비평ꡕ36, 역사비평사, 1997.
尹龍爀, 「고려 대몽항쟁기의 민랑에 대하여」, ꡔ사총ꡕ30, 고려대학교 사학회, 1986.
尹龍爀, 「1232년 용인 처인성에서의 대몽승첩」, ꡔ고려시대의 용인ꡕ, 용인시사편찬위원회, 1998.
李景植, 「고려 말기의 사전문제」, ꡔ동방학지ꡕ40,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3.
李益柱, 「고려후기 몽고침입과 민중항쟁의 성격」, ꡔ역사비평ꡕ24, 한국역사연구회, 1994
李益柱, 「高麗 對蒙抗爭期 講和論의 硏究」, ꡔ歷史學報ꡕ151, 歷史學會, 1996.
李益柱, 「「1232년 용인 처인성에서의 대몽승첩」에 대한 토론요지」, ꡔ고려시대의 용인ꡕ, 용인시사편찬위원회, 1998.
鄭修芽, 「高麗中期 對宋外交의 재개와 그 의의-北宋 改革政治의 受用을 중심으로-」, ꡔ國史館論叢ꡕ61, 國史編纂委員會, 1995.
蔡雄錫, 「12, 13세기 향촌사회의 변동과 ‘민’의 대응」, ꡔ역사와 현실ꡕ3, 한국역사연구회, 1990.
蔡雄錫, 「고려시대 향촌지배질서와 신분제」, ꡔ한국사ꡕ6, 한길사, 1994.
蔡雄錫, 「고려사회의 변화와 고려중기론」, ꡔ역사와 현실ꡕ32, 한국역사연구회, 1999.
蔡雄錫, 「12세기초 고려의 개혁 추진과 정치적 갈등」, ꡔ한국사연구ꡕ112, 한국사연구회, 2001.
洪承基, 「고려귀족제사회론 시비논쟁에 드러난 역사인식론적 문제-고려사 연구에 보이는 쟁점에 대한 검토의 일 예」, ꡔ진단학보ꡕ91, 2000.
E. J. Shultz, 「韓安仁派의 登場과 그 役割-12世紀 高麗 政治史의 展開에 나타나는 몇 가지 特徵-」, ꡔ歷史學報ꡕ99·100, 역사학회, 1983.
*석*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한국중세고려시대 시기구분에 대한 레포트 5페이지
    또한 의종대까지를 전기로 무신집권기-후기(충렬왕~충정왕)-말기(공민왕 이후 ... 나누는 견해도 있다.조선 건국의 주도세력이 된 신흥사대부 발생의 계기를 무신집권기에서 ... 특히 고려전기가 고대사회였다고 주장하는 논자들은 전기에 농민의 사적 토지소유가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국중세사]무신집권기 농민항쟁과 고려 후기 사회변동
AI 챗봇
2024년 09월 0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7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9월 1일에 베타기간 중 사용 가능한 무료 코인 10개를 지급해 드립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방송통신대학 관련 적절한 예)
- 국내의 사물인터넷 상용화 사례를 찾아보고, 앞으로 기업에 사물인터넷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기술하시오
5글자 이하 주제 부적절한 예)
- 정형외과, 아동학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