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포스트모던 이론의 비판적 검토를 통한 민주주의 발전방향 모색

*찬*
최초 등록일
2008.03.05
최종 저작일
2005.02
96페이지/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본 논문에서는 포스트모던 이론의 의미와 한계를 보다 정밀하게 살피고, 포스트모던 이론에 대한 재검토를 시도될 것이다. 특히, 근대 이후 형성된 두 가지의 경향인 ‘기술 발전적 시각’과 ‘이데올로기적 해방의 시각’을 합치(合致)적 관점을 통해 극복하고, 이를 통해 근대 민주주의에 대한 비판을 통해 한계를 지적할 것이며, 동시에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B5 약 91페이지 분량의 논문의 논문입니다.)

목차

제 1 장 서 론 1
제1절 문제의 제기 1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5

제 2 장 포스트모던 이론의 배경과 한계 9
제1절 모더니즘의 개념과 이데올로기 9
1. 모더니즘의 기원과 배경: 계몽사상과 정초주의 9
2. 모더니즘의 개념: 이데올로기적 이해 13
제2절 모더니즘 비판과 포스트모던 이론의 태동 17
1. 모더니즘의 위기: 반정초주의 17
2. 포스트모던 이론의 형성과정 20
제3절 포스트모던 이론의 개념과 의의 26
1. 포스트모던 이론의 두 경향 26
2. 포스트모던 이론의 비판과 한계 31
3. 포스트모던 이론의 재검토: 인본주의적 해방의 기획 36

제 3 장 근대 민주주의의 포스트모던적 이해 41
제1절 근대 민주주의의 발전과 비판 41
1. 근대 민주주의의 기원과 발전 41
2. 근대 민주주의에 대한 모더니즘적 비판 43
제2절 근대 민주주의의 포스트모던적 이해 48
1. 근대 민주주의의 권력 주체: 생-권력과 전체성 비판 48
2. 근대 대의 민주주의 비판: 차별의 정치 비판 50
3. 근대 자유 민주주의 비판: 후기 산업사회 비판 52
제3절 근대 민주주의의 포스트모던적 대안 모색 56
1. ‘거시권력’과 ‘미시권력’의 조화 56
2. 차이의 정치 57
3. 네트워크 사회와 사회적 자본 그리고 성찰적 근대 60

제 4 장 한국 민주주의의 포스트모던적 이해 67
제1절 한국의 포스트모던 이론 수용과 한계 67
제2절 한국 민주주의의 포스트모던적 이해 70
1. 민주주의의 공고화와 포스트모던적 조건 70
2. 전자민주주의의 확대와 네트워크 사회로의 진입 73
3. 한국 민주주의와 포스트모던적 견해 76

제 5 장 결 론 79

Abstract 82

참 고 문 헌 84


표 차 례
<표 1> 포스트모던 이론의 두 경향 39
<표 2> 네트워크 사회의 특성 61
<표 3> 사적 수준의 신뢰 지표 75

그 림 차 례
<그림 1> 포스트모던 이론의 계보 31
<그림 2> 한국사회의 민주화 이행 과정 71

본문내용

기존의 포스트모던 이론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근대와의 ‘단절’ 혹은 ‘연속’이라는 시간적 선(先)-후(後)관계에 대한 입장 그리고 모더니즘을 통해 사회의 진보를 추구하는 근대 계몽적 시각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의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포스트모던 이론이 정확히 무엇인가에 대한 합의는 부재하다. 특히, 사회과학과 정치학에서 포스트모던 이론을 개념적으로 일반화하는 데에는 더욱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원인에는 포스트모던 이론이 갖는 몇 가지 한계를 지적할 수 있다.
첫째, 포스트모던 이론이란 개념이 시간적으로 매우 긴 과정을 통해서 설명 혹은 증명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특정 시점을 두고 시간적 선―후 관계 속에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는 있겠으나, ‘언제부터 포스트 시기이다’라고 명확하게 구체화 할 수 없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예를 들면, ‘새천년 시대’라는 용어로서 2000년대와 1900년대를 비교할 수 있겠지만, 현실에서는 전통과 근대와 탈근대적 현상이 교차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특정 시점이나 상황을 탈근대, 혹은 후기 근대라고 명확히 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둘째, 포스트모던 이론의 개념을 단순하고 일반적인 차원에서의 사회적 변화로서 풀이하는 것을 넘어서 정치적 변화를 포함하는 일련의 혁명적 변혁의 과정에서 다루려 할 때에 ‘포스트’의 개념 자체가 더욱 모호해진다. 예를 들면, 포스트 산업사회의 특징들이 근대 산업사회의 정치 패러다임을 어떻게, 얼마나 바꾸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으로 구체화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셋째, 두 번째로 지적한 한계의 연장선상에서 포스트모던 이론이 주장하는 근대적 정치 패러다임의 약화 혹은 단절의 개념이 전 지구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것이냐에 대한 한계이다. 예를 들면, 글로벌 시대의 확산과 후기 산업사회로의 발전 속에서 근대 국민국가의 위상이 감소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이 같이 특징들이 개별 국가적 차원에서 전지구적 차원으로 일반화될 수 있느냐의 문제에 대한 지적이다.
연계적으로 덧붙이면, 서구의 이론을 통해 한국의 독특한 상황을 분석하는 한계로서, 우리만의 문제를 지적할 수 있다. 이러한 한계들로 인해 포스트모던 이론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스스로가 갖는 가치지향성에 따라 전혀 다른 입장의 포스트 모던적 현상을 분석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들로 인해 포스트모던 이론이란 전방위적 문화현상으로 치부되는 알맹이 없는 거대포장이란 비판이 제기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극단적 포스트모던 이론이 ‘거대담론’이라는 틀로 규정되는 것 자체를 거부하고자 하는 특성을 고려하면서 동시에 사회적·정치적인 함의를 찾는 노력을 해야 한다. 그리고 이 문제는 타협되지 않는 타협을 이루는 것처럼 상당히 어려운 문제라는 인식 속에서 시작될 것이다.

참고 자료

국 문

1) 단행본

권영숙, 1996, 「미셸 푸코에서 ‘사회적인 것(the social)’에 대한 연구: 신체, 권력 그리고 사회방위 개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문학석사 학위논문.
권용현(외), 2001, ꡔ한국사회와 모더니티ꡕ, 이학사.
김성기, 1991, ꡔ포스트모더니즘과 비판사회과학ꡕ, 문학과지성사.
김일한, 1997, ꡔ현대 마르크스주의의 단절성과 연속성: 포스트마르크스주의를 중심으로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김욱동, 1997, ꡔ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구조주의ꡕ, 현암사.
김호기(외), 2001, ꡔ현대 비판사회이론의 흐름ꡕ, 한울.
남경태, 2001, ꡔ한눈에 읽는 현대철학ꡕ, 광개토.
노베르토 보비오, 윤홍근(역), 1989, ꡔ민주주의의 미래ꡕ, 인간사랑.
--------------------, 황주홍(역), 1992, ꡔ자유주의와 민주주의ꡕ, 문학과지성사.
데이비드 헬드, 조효제(역), 2003, ꡔ전지구적 변환ꡕ, 창작과비평사.
리요타르, 이현복(역), 1992, ꡔ포스트모던적 조건ꡕ, 서광사.
박동진, 2000, ꡔ전자민주주의가 오고 있다ꡕ, 책세상
볼프강 벨쉬, 박민수(역), 2001, ꡔ우리의 포스트모던적 조건ꡕ, 책세상.
송영정, 1995, 「푸코 후기 사상에서 권력과 주체의 문제」,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학위 논문.
송재룡, 2001, ꡔ포스트모던 시대와 공동체주의ꡕ, 철학과 현실사.
스티븐 사이드먼, 박창호(역), 1999, ꡔ지식논쟁ꡕ, 문예출판사.
신승환, 2003, ꡔ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성찰ꡕ, 살림.
손호철, 2002, ꡔ근대와 탈근대의 정치학ꡕ, 문학과지성사.
손호철(외), 1996, ꡔ현대민주주의론IIꡕ, 창작과 비평사.
안토니 기든스, 이윤희(역), 1991, ꡔ포스트모더니티ꡕ, 민영사.
알랭 로랑, 김용민(역), 2000, ꡔ개인주의의 역사ꡕ, 한길크세주.
양운덕, 1994, ꡔ해겔에서 리요타르까지ꡕ, 지성의샘.
에릭 홉스붐, 임지현(역), 2000, ꡔ노동의 세기 실패한 프로젝트?ꡕ, 삼인.
울리히 벡, 정일준(역), 2000, ꡔ적이 사라진 민주주의ꡕ, 새물결.
월러스틴, 강문구(역), 1996, ꡔ자유주의 이후ꡕ, 당대.
정보통신윤리위원회, 2002, ꡔ정보통신윤리백서ꡕ,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이봉철, 1994, ꡔ포스트모던 변화와 정치사상ꡕ, 인간사랑.
정재왈(외), 2002, ꡔ세계 지식인 지도ꡕ, 산처럼.
정정호·강내희, 1989, ꡔ포스트모더니즘론ꡕ, 터.
정헌주, 1996, 「현대 탈계급화이론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문학박사학위논문.
칼리니스쿠, 이역욱(역), 1998, ꡔ모더니티의 다섯 얼굴ꡕ, 시각과언어.
토플러, 김진욱(역), 1992, ꡔ제3의 물결ꡕ, 범우사.
테리 이글턴, 김준환(역), 2000, ꡔ포스트모더니즘의 환상ꡕ, 실천문학사.
피에르 부르디외, 김주경(역), 2002, ꡔ세계의 비참ꡕ, 동문선.
피터 칼버트, 김동택(역), 2002, ꡔ혁명ꡕ, 이후.
홍성민, 2004, ꡔ피에르 부르디외와 한국사회: 이론과 현실의 비교정치학ꡕ, 살림.
황주홍, 2002, ꡔ미래학 산책ꡕ, 조선일보사.

2) 논문자료

강성학, 1994, 「역사의 종말과 포스트모던 국제정치: 20세기 말 지성적 위기의 철학적 배경을 중심으로」, ꡔ계간사상ꡕ, 여름호.
구범모, 1995, 「포스트모더니즘과 한국정치학의 전망」, ꡔ정신문화연구ꡕ, 제18권 2호.
김동택, 2003, 「정치이념: 민주주의의 취약함, 무엇으로 메울 것인가」, ꡔ역사비평ꡕ, 여름호.
김영필, 1998, 「포스트모던적 반란-그후(?)」, ꡔ철학연구ꡕ 제65집.
김용찬, 2000, 「니체와 포스트모더니즘」,ꡔ정치사상연구ꡕ 2집.
김진철(외), 1998, 「현대 사회과학의 패러다임 위기: 사회과학의 제패러다임의 위기와 주요 쟁점들」, ꡔ사회과학연구ꡕ 제6호.
민은경, 2003, "고대와 근대 논쟁: 템플과 워튼의 중국관을 중심으로", ꡔ영국연구ꡕ, 9호.
박성진, 2003, 「한국 사회 신뢰의 악순환과 민주주의의 공고화」, ꡔ동향과 전망ꡕ, 58호.
박주원, 2004, 「한나 아렌트와 칼 마르크스의 대의제 민주주의 비판」, ꡔ철학과 현실ꡕ, 제61권.
박종식, 2002, 「칸트철학과 리요타르의 포스트모더니즘」, ꡔ칸트연구ꡕ, Vol. 10.
박호성, 2002, 「자유주의적 인간론 서설」, ꡔ사회과학연구ꡕ 제10집.
양종근, 2002, 「포스트주의의 허와 실」, ꡔ문예미학ꡕ, 제9호.
양해림,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의와 이성비판: 반성적 고찰과 관련하여」, ꡔ강원인문논집ꡕ, 제7집.
양해림, 1998, 「과학기술시대에 이성비판: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ꡔ계몽의 변증법ꡕ을 중심으로」, ꡔ범한철학ꡕ.
엄태동, 1997, 「반정초주의적 교화의 철학으로부터 온 초대장: 교육적 인식론의 매력과 의의」, ꡔ교육원리연구ꡕ 2권 1호.
윤건차, 2001, 「현대 일본에서의 “포스트모던”과 국가」, ꡔ문화과학ꡕ, 26호.
이동수, 2000, 「포스트모더니즘과 한국 현대 정치사회의 이중성」, ꡔ정치사상연구ꡕ 3집.
이영애, 1996, 「성 정치학의 포스트모더니즘적 조망」ꡔ한국정치학회보ꡕ, Vol. 30, No. 3.
이재열, 1998, 「민주주의 사회적 신뢰, 사회적 자본」, ꡔ계간사상ꡕ, 66집.
이현복, 2000, 「모던과 포스트모던의 논쟁: 거인의 어깨위에 앉아 있는 난장이?」, ꡔ문화과학ꡕ, 제22호.
조희연, 2002, 「‘제2기 민주화’ 단계의 구조적 의미와 개혁담론의 방향」, ꡔ2002 대선 평가 토론회ꡕ, 2002 대선 교수네트워크, (2002, 12. 23)
진중권, 2000, 「근대적인, 너무나 근대적인 우리의 포스트모던에 관하여」, ꡔ문화과학ꡕ, 제22호.
최문규, 1992, 「포스트모더니즘과 장엄합의 미학-칸트와 리요타르를 중심으로」, ꡔ문학과 사회ꡕ, 제19집.
최종욱, 1990, 「탈근대 - 또 하나의 이데올로기인가 아니면 이데올로기의 해체인가?」, ꡔ철학과 현실ꡕ, 제7권.
--------, 1994, 「탈현대론의 한국적 수용에 대한 비판적 소론」, ꡔ“포스트논쟁”과 사회의식 연구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1998, 「‘비판이론’과 ‘포스트 모던 철학’에서의 주체의 문제: 프랑스 ‘신철학’을 중심으로」, ꡔ어문학논총ꡕ, Vol. 17.
홍원표, 1996, 「포스트모더니즘과 정치공동체: 배제·과잉·균형의 정치」, 한국정치학회 96년 연례학술논문집 2.
홍태영, 2004, 「대의제민주주의와 정쟁의 구조화: 서구의 경험」, ꡔ철학과 현실ꡕ 제61권.
황주홍, 1993, 「민주주의와 소유집착적 개인주의」, ꡔ사회비평ꡕ 제9호.
--------, 2002, 「자유주의의 문제: 탈 자유주의적 자유주의의 관점」, ꡔ정치사상연구ꡕ, 7집.
황태연, 1992, 「포스트모더니즘적 근대비판의 비판적 고찰: Jeremy Bentham의 정치기획에 대한 Michel Foucault의 ‘계보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ꡔ한국정치학회보ꡕ, Vol. 26, No. 2.


영 문

Barber, Benjamin, 1998, “Three Scenarios for Future of Technology and Strong Democracy,” Political Science Quarterly, Vol. 113 No. 4.
--------, Benjamin R., 2001, “How to Make Society Civil and Democracy Strong,” in The Global Third Way Debate, eds., by Anthony Giddens, Polity Press.
Baron, Stephen, ed., 2000, “Social Capital: A Review and Critique,” Social Capital, Oxford University Press.
Barss, Patchen, 2004, This Magazine, May-June, Vol. 37.
Bellamy, Richard & R. J. Barry Jones, 2000, “Globalization and Democracy―an after word,” in Global Democracy, ed., by Barry Holden, Routledge.
Birch, Anthony H., 2001, “Globalization and The National State,” Concepts & Theories of Modern Domocracy, Routledge.
Brzezinski, Zbigniew, 2000, “Epilogue: Democracy`s Uncertain Triumph,” in Marc F. Plattner & Aleksabder Smolar eds., Globalization, Power, and Democracy,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Cahoone, Lawrence, 2003, From Modernism to Postmodernism, Blackwell.
Chambers, Somone & Jeffrey Kopstein, 2001, “Bad Civil Society,” Political Theory, Vol. 29, No. 6.
Cohen, Jean, 2001, “Trust, Voluntary association and workable democracy: the contemporary American discourse of civil society,” Democracy and Tru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Collier, David and Steven Levitsky, 1997, “Democracy with Adjectives,” World Politics, 49(3),
Cosgrove, Lisa, 2003, “Femism, Postmodernism and Psychological Research,” Hypatia, Vol. 18, No. 3.
Crook, S., J. Pakulski and M. Waters, 1992, Postmodernization: Change in Advanced Society, Sage,
Deutsch, Eliot, eds., 1991, Culture And Modernity, University of Hawaii Press.
Fukuyama, Francis, 2002, “Has History Started Again?,” Policy, winter.
Giddens, Anthony, 2000, The Third Way and its Critics, Polity Press.
Gordon, Daniel, eds., 2001, Postmodernism and the Enlightenment: New Perspectives in Eighteenth Century French Intellectual History, Routledge.
Haber, Honi Fern, 1994, Beyond Postmodern Politics, Routledge.
Habermas, Jurgen, 1981, “Modernity versus Postmodernity,” New German Critique, Vol. 22.
Hardin, Russel, 1999, Liberalism, Constitutionalism, and Democracy, Oxford University Press.
Harvey, David, 1989, The Condition of Modernity: An Enquiry into the Origins of Cultural Change, Oxford, Blackwell.
Hollinger, Robert, 1994, Postmodernism and the Social sciences, Sage Publications.
Horkhimer, Max, 1972, “Traditional and Critical Theory,” Critical Theory: Selected Essays, trans, O`Connell, Matthew, et al., Herder and Herder.
Huyssen, Andreas, 1998, “Mapping the Postmodern,” in Postmodernism Critical Concepts, Vol II, Routledge,
Inglehart, Ronald, 1997, Modernization and Postmodernization: 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Change in 43 Socit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Leiss, William, 1988, C. B. Macpherson: Dillemmas of Liberalism and Socialism, St. Martin`s Press.
Macpherson, C. B., 1973, Democratic Theory: in Retrieval, Oxford University Press.
Montgomery, John D. & Alex Inkeles eds., 2001, Social Capital as a Policy Resource, Kluwer Academic Publishers.
Paul, R. Abramson, R. & Ronald Inglehart, 1995, Value Change in Global Perspective,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Poster, Mark, 1989, Critical Theory and Poststructuralism, Cornell University Press.
Putnam, Robert D., 1993,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University Press.
----------, Robert D., 2000,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Touchstone.
Taylor, Bill, 2001, “Trade unions and social capital in transitional communist states: The case of China,” Social Capital as a Policy Resource, Kluwer Academic Publishers.
Vincent, Andrew, 1992, Modern Political Ideologies, Blackwell.
Waters, Malcolm, eds., 1999, Modernity: Critical Cncepts, Vol. IV, Routledge.
*찬*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 7페이지
    이루어짐- 실천 전략은 ‘새로운 정치’의 기획, 정치논리는 미시정치, 급진민주주의 ... 수용하여 포스트모더니즘을 독점자본주의문화론이라는 관점에서 비판- 포스트모더니즘은 ... 모더니즘의 논리적 발전 계승이며 동시에 비판적 반작용, 의식적 단절- 계승
  • 페미니즘이란 무엇인가 11페이지
    페미니즘3.7 포스트모던 페미니즘4.급진적 페미니즘과 에코 페미니즘4.1 ... 사상 : 프레이즈의 비판-민주주의 사상은 여성들을 시민권에서 배제했고, ... 따라서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 자본주의를 해체하고 계급 없는 사회로 나아가야
  • 국사의 앞으로의 방향 3페이지
    이러한 포스트모던적 역사이론에 대해서는 많은 비판이 제기되었다. ... 한다.20세기는 자유민주주의, 공산주의, 민족주의, 자본주의와 같은 정치적 ... 여러 논의와 방향 제시를 통하여 우리는 21세기에 우리의 역사교육이 나아갈
  • [교육]교육의 철학적기초 24페이지
    강조→ 포스트모던 철학자들은 사회적 연대의식의 바탕 위에서 협동적 대화와 ... 측면 모두 작용-이론적인 측면: 지금까지 주어진 이론에서 무엇인가 발전된 ... 구체적으로는 교육이론이나 실천에서 문제해결의 새로운 방향이나 가치를 제언하는
  • [인문어학]21世紀로의 轉換과 歷史敎育의 方向-논문요약 8페이지
    동향, 세계 역사교육의 동향에 대한 보다 광범한 검토를 통하여 우리의 역사교육이 ... 내용과 방법의 조화가 더욱 절실히 요망된다.2) 교과서를 보는 관점의 변화포스트모던 ... 특징적 양상과 20세기가 남긴 과제들을 살펴보자.첫째, 20세기는 자유민주주의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포스트모던 이론의 비판적 검토를 통한 민주주의 발전방향 모색
AI 챗봇
2024년 08월 2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8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베타기간 중 사용 가능한 무료 코인 10개를 지급해 드립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방송통신대학 관련 적절한 예)
- 국내의 사물인터넷 상용화 사례를 찾아보고, 앞으로 기업에 사물인터넷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기술하시오
5글자 이하 주제 부적절한 예)
- 정형외과, 아동학대